올봄, 활짝 핀 벚꽃보다 먼저 찾아온 손님(?)이 있습니다. 봄의 불청객 ‘황사’인데요. 황사의 영향으로 오늘(29일) 전국 대부분 지역이 뿌연 하늘을 보였습니다.
기상청에 따르면 26일부터 중국 내몽골 지역에서 발원한 황사는 북서풍을 타고 전날(28일) 밤부터 한반도에 유입돼 남동쪽으로 이동하면서 전국에 영향을 끼쳤습니다.
미세먼지 수준은 전국 각지
주말을 앞둔 29일 전국 대부분 지역에 황사가 나타났다. 봄 햇살을 기대했던 시민들은 뿌연 하늘을 보며 실망했다.
기상청에 따르면 내몽골고원발 황사가 닥치면서 이날 전국 대기질이 최악을 기록했다. 이에 환경부는 이날 오전 황사유입 영향으로 서울과 경기, 인천 등 수도권과 강원 영서, 충남의 황사위기경보 단계를 '주의'로 격상했다.
주의 단계 황사위기경
출근하는데 목도 따갑고, 눈도 간지럽더라구요
오늘(12일) 아침 출근길, 뿌연 하늘에 다들 놀라셨죠. 이유가 있었습니다. 중국발 황사의 영향으로 이날 오전부터 전국 17개 시도에서 미세먼지가 ‘매우 나쁨(151㎍/㎥ 이상)’ 수준을 훌쩍 뛰어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이날 환경부는 미세먼지(PM10) 시간당 평균 농도가 300㎍/㎥ 이상 2시간 지속됐다
전국 17개 시도에 '관심' 단계 황사위기경보가 발령됐다. 이에 한덕수 국무총리는 관계부처와 지방자치단체에 사전 대응을 주문하는 긴급 지시를 했다.
한 총리는 환경부와 지자체에 "관련 대응 매뉴얼에 따라 국민에게 신속하게 안내해 국민 건강과 안전에 만전을 기하라"고 지시했다.
그는 교육부와 보건복지부에는 "어린이 건강 보호를 위해 어린이집, 유치원,
한국환경공단은 23일 오후 7시를 기해 서울에 미세먼지주의보가 발령됐다고 전했다.
서울 지역의 1시간 평균 미세먼지 농도는 266㎍(마이크로그램·100만분의 1g)/㎥이다.
미세먼지주의보는 시간 평균 미세먼지 농도가 150㎍/㎥ 이상인 상태가 2시간 지속될 때 내려진다.
공기 중에 초미세먼지나 미세먼지 농도가 높아지면 노인·어린이·호흡기질환자·심혈
환경부는 전국에 내려진 황사위기경보 '주의' 및 '관심' 단계가 14일 오전 8시를 기해 전부 해제됐다고 밝혔다.
11일 중국 고비사막과 내몽골고원에서 발원한 황사가 12일 저녁부터 국내에 유입되면서 12일 오후 충청과 호남을 시작으로 12~13일 경남을 뺀 전국에 황사위기경보 관심 또는 주의 단계가 발령됐다. 이번 황사 위기경보 발령은 작년 5월 7~
정부가 인천·경기·서울에 이어 강원과 전북지역까지 황사 위기경보를 '주의' 단계로 추가 발령했다.
환경부는 13일 오후 2시 기준 전북지역 미세먼지(PM10) 농도가 시간당 300㎍/㎥ 이상이 2시간 지속됨에 따라 황사 위기경보 ‘주의’ 단계를 발령했다.
앞서 이날 오전 10시에 서울, 정오에는 강원의 경보 단계를 '주의'로 올렸다. 이로써 황사 위기
정부가 서울지역 황사 위기경보를 '주의' 단계로 추가 발령했다.
환경부는 13일 오전 10시 기준 서울지역 미세먼지(PM10) 농도가 시간당 300㎍/㎥ 이상이 2시간 지속됨에 따라 황사 위기경보 ‘주의’ 단계를 발령했다.
황사 위기경보는 '관심-주의-경계-심각' 4단계로 이뤄진다.
중국에서 발원한 황사가 국내에 유입됨에 따라 전일 오후 5시를 기해
환경부가 대전·세종·충북·충남·광주·전북·전남 등 7개 시도에 황사 위기경보 ‘관심’ 단계를 발령했다.
12일 환경부는 이날 오후 5시 기준으로 고비사막 및 내몽골 고원에서 발원한 황사가 우리나라에 유입돼 내일까지 영향을 미친다고 밝혔다. 올해 황사 위기경보가 발령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환경부는 이날부터 관계 기관과 지자체에 ‘황사 대응 매뉴얼’
어버이날인 8일까지 전국 대부분 지역이 황사 영향권에 들어간다.
기상청은 7일 오후 4시 경남권과 제주도를 제외한 대부분 지역에서 황사가 관측되고 있으며, 8일까지 전국 대부분 지역이 황사의 영향을 받는다고 밝혔다.
기상청은 "지난 5일부터 고비사막에서 발원한 황사는 남동쪽으로 이동해 우리나라에 영향을 주고 있으며 고농도의 황사가 지속해서 유입되고
7일 오후 서울과 경기 등 수도권을 중심으로 전국이 미세먼지로 뿌옇게 뒤덮였다.
서울시 보건환경연구원과 기상청 등에 따르면 이날 오후 3시 기준으로 서울 미세먼지(PM10) 농도는 610㎍/㎥로 '매우 나쁨'(151~㎍/㎥)의 4배를 넘었다. 인천(632㎍/㎥)과 경기(585㎍/㎥), 충남(470㎍/㎥) 등도 ‘매우 나쁨’ 기준을 초과했다.
서울시
제주도와 전남지역을 제외한 전국 지역의 황사 위기경보 ‘주의’ 단계가 해제됐다.
환경부는 30일 오후 6시를 기점으로 서울 등 전국 15개 시·도에 대해 위기경보 ‘주의’ 단계를 해제했다고 밝혔다.
다만, 제주와 전남에 발령된 위기경보 ‘주의’ 단계는 유지된다.
이번 황사는 지난 26일 중국 내몽골 고원과 몽골 고비사막 등에서 발원한 것으로, 북서풍
황사와 미세먼지가 서울을 덮쳤다. 대기 상태가 매우 나쁜 수준에 달하자 서울시와 기상청 등은 야외활동 자제를 당부했다.
기상청은 29일 오전 7시 10분을 기점으로 서울 전역에 황사 경보를 발효했다. 황사 경보는 황사로 인해 시간당 평균 미세먼지 농도가 800㎍/㎥ 이상인 상태가 2시간 이상 지속할 것으로 예측될 때 발효된다. 맨눈으로 하늘이 누렇게 보
전국이 황사 영향권에 들어가면서 정부가 위기경보 '주의' 단계를 발령했다.
환경부는 29일 오전 9시 기준 전국 15개 시·도에 미세먼지 경보를 발령했다. 황사 위기경보는 '주의' 단계로 대상 지역은 서울, 경기, 인천, 강원, 대전, 세종, 충북, 충남, 경남, 전북, 광주, 울산, 전남, 대구, 경북이다.
황사 위기경보 '주의' 단계 발령에 따라
최근 중국발 미세먼지에 황사까지 더해져 한반도는 최악의 대기질이 이어지고 있다. 하지만 정작 중국과의 협조와 대책 마련 촉구는 겉도는 상황만 계속되고 있다. 정부는 중국과의 협조를 강화하겠다고 나섰지만 중국은 자국 대기질 개선만을 강조하고 있어 구체적인 해결 방안은 당장 나오기 힘들 전망이다.
현재 우리나라의 기상상황은 미세먼지에 황사까지 더해져 설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