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G전자가 미국 라스베이거스에서 25일(현지시간)부터 사흘간 열리는 주방∙욕실 전시회 'KBIS 2025'에서 인공지능(AI) 기술을 더한 프리미엄 히트펌프 건조기 라인업을 선보인다고 13일 밝혔다.
이번에 선보이는 히트펌프 건조기는 북미 시장 최초로 AI DD모터를 탑재했다. 세탁물의 무게∙습도∙옷감 종류 등을 분석해 세탁∙건조 강도를 자동 조절한다
SK엔무브는 자체 개발한 차세대 냉매 제품이 미국 냉난방공조협회로부터 국제 인증인 '알넘버'를 획득했다고 12일 밝혔다.
전기차에 특화해 우수한 냉난방 성능은 물론 전기차 열관리 핵심 부품인 히트펌프 효율을 개선함으로써 전비를 높여주며, 글로벌 환경 규제 기준에도 부합하도록 개발됐다고 회사 측은 설명했다.
삼성전자가 10~12일(현지시간) 미국 플로리다주 올랜도에서 열리는 북미 최대 공조 전시회 'AHR 엑스포'에 참가해 냉난방공조(HVAC) 시장을 공략한다.
회사는 △고효율 하이브리드 인버터 실외기 '하이렉스 R454B' △가정용 히트펌프 'EHS' △고효율 시스템에어컨 R32 'DVM' 라인업 등 가정용∙상업용 공조 솔루션을 전시한다.
16일 국내 승용 브랜드 공식 출범아토3 보조금 받을 시 2000만 원대아토3 이어 씰·씨라이언7도 출시서울서 제주까지 전시장 15곳 오픈
중국의 세계 1위 전기차 브랜드 '비야디(BYD)'가 16일 국내 상륙했다. BYD는 국내 첫 출시 모델로 소형 전기 스포츠유틸리티차량(SUV) ‘아토3(ATTO3)’를 내세웠다. 3000만 원대 초반 출고가로 최대
노후 지열설비 개선에 최대 1억5000만 원 지급
서울시가 재생열 활성화와 에너지 효율 향상을 위해 민간 건물 노후 지열 설비 교체 비용의 70%(최대 1억5000만 원)를 지원하는 ‘민간 지열설비 효율 개선 지원사업’을 추진한다고 13일 밝혔다.
올해는 지원 대상을 히트펌프, 순환펌프 교체에 국한하지 않고, 밸브·스트레이너 교체, 배관·열교환기 청
롯데건설은 입주민의 편의성을 제공하고 삶의 질을 높이기 위해 제습 전문기업 휴마스터와 드레스룸용 빌트인 제습 청정기 제품을 공동 개발했다고 7일 밝혔다.
이 제품은 기존에 다습한 공기를 냉각 코일에 통과시켜 제습하는 히트펌프 방식의 천정형 제습기가 아닌 공기 청정 기능을 갖춘 데시컨트 방식을 적용해 성능을 강화했다.
데시컨트는 화학적인 제습 방식으로
삼성전자는 다음 달 7일(현지시간) 미국 라스베이거스에서 열리는 가전ㆍ정보기술(IT) 박람회 ‘CES 2025’에서 ‘가정용 히트펌프 EHS(Eco Heating System)’ 제품을 공개한다고 25일 밝혔다.
EHS는 바닥 난방과 급탕에 사용하는 제품이다. 공기열과 전기로 온수를 만들 수 있어 효율이 높고 탄소 발생이 적다.
삼성전자가 올해 초 세탁과 건조가 한 번에 가능한 '삼성 비스포크 AI 콤보'를 출시하며 AI 의류 케어 시대의 개막을 알렸다는 평가다.
삼성 비스포크 AI 콤보’는 출시 후 3일 만에 1000대를 판매한 데 이어 국내 히트 펌프 방식 세탁 건조기 시장 최초 1만 대를 판매하는 등 연일 역대급 기록을 세우고 있다.
비스포크 AI 콤보는 세탁기와 건조
산업부,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서 '제5차 에너지기술개발계획' 확정에너지 '공급-전달체계-수요' 전주기 기술개발
정부가 탄소중립과 합리적 에너지 전환을 위해 무탄소 에너지의 경쟁력을 키운다. 또한 전력 수요 급증에 대응해 고압직류송전기술(HVDC) 대용량화도 추진한다. 이와 함께 고효율·청정 에너지 사용구조로의 전환과 미래지향적인 에너지 연구개발(R&D)
첫 B2B 고객 확보…SM엔터테인먼트 연수원 준공히트펌프 냉난방시스템 등으로 에너지 절감스마트홈 플랫폼 LG 씽큐 앱으로 IoT 기기 통합 제어
LG전자가 차별화된 인공지능(AI) 가전과 냉난방공조(HVAC) 기술을 집약한 혁신적인 주거생활 솔루션 ‘LG 스마트코티지’를 SM엔터테인먼트에 공급했다고 15일 밝혔다.
LG전자와 SM엔터테인먼트는 13일 강
건물 탈탄소 여정의 패러다임 전환을 이끈 서울시 ‘기후동행건물 프로젝트’가 시행 1년을 맞았다. 건물 에너지 사용량 ‘신고·등급제’를 지자체 최초로 도입해, 온실가스 배출량을 관리하는 ‘총량제’ 기반을 닦았다. 서울시는 16일 성과를 공유하고 우수건물 시상 및 향후 과제 토론 자리를 마련했다고 12일 밝혔다.
서울시는 건물 온실가스 배출량 감축을 선도
서울시가 ‘기후동행건물 프로젝트’ 1년 성과를 돌아보고, 저탄소 우수건물을 시상하는 포럼을 개최한다.
12일 서울시는 16일 오후 2시 서울시청 본관8층 다목적홀에서 서울시 행정1부시장, 서울시의회 환경수자원위원회 위원장, 산업부·국토부 관계자, 참여건물 대표자 등이 참석한 가운데 ‘기후동행건물 프로젝트 포럼’을 개최한다고 밝혔다.
‘기후동행건물
한국서부발전이 에너지 전환과 무탄소 혼조, 혁신기술 및 탄소중립 동행 노력을 인정받았다.
서부발전은 3일 한국능률협회컨설팅(KMAC) 주관 ‘2024 한국의 경영대상’에서 ‘이노베이션 베스트 프랙티스’(Innovation Best Practice) 부문 ‘한국의 탄소중립 리더’로 선정됐다고 3일 밝혔다.
한국의 경영대상은 산업계 발전에 기여한 경영혁신
1~2인 가구에서 사용하기 적합한 중소형 용량을 타깃한 점이 경쟁사와 차별화된 셀링 포인트다. 향후 스마트한 종합가전회사로 발돋움하기 위한 시작이다.
장유정 로보락 한국마케팅 매니저는 29일 스타필드 하남에서 열린 ‘세탁건조기 런칭 설명회’에서 이번 신제품 세탁건조기 출시 의의와 목표에 관해 이같이 말했다.
로보락은 이날 올인원 세탁건조기 ‘로보락
내년 초 국내서 승용차 공식 판매 돌입세단·소형SUV·소형 해치백 등 라인업인증 절차 마무리 후 가격·보조금 확정
중국 최대 전기차 기업 비야디(BYD)가 내년 초 한국 시장에 공식 진출을 선언하면서 국내에서 경쟁력이 있을지에 관한 관심이 커지고 있다. BYD가 한국에 우선적으로 출시할 모델로 꼽히는 씰(SEAL)·아토3(ATTO3)·돌핀(DOLPHIN)
삼성 레녹스 HVAC 북미 CEO 임명LG, ‘ES 사업본부’서 HVAC 집중글로벌 HVAC 시장 확대 전망
삼성전자와 LG전자가 냉난방공조(HVAC) 사업에 드라이브를 걸고 있다. 새로운 먹거리로 키우기 위한 준비 작업을 마치고, 내년부터 사업 추진에 속도를 낼 전망이다.
삼성전자는 미국 내 합작법인을 통해 사업 영역을 확대하고, LG전자는 HVAC
경동나비엔이 해외 매출을 늘려가며 글로벌 냉난방공조 기업으로 도약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22일 보일러 업계에 따르면 경동나비엔의 3분기 해외 매출액은 약 2477억 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21.94% 증가한 수준이다.
북미 매출액은 약 1952억 원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약 1586억 원)보다 400억 가까이 늘었다. 북미 매출액은 1분기 약 18
영하 10℃에도 따뜻한 바람AI가 공간 분석해 최적 바람
LG전자가 냉방, 제습에 온풍까지 적용된 ‘휘센 뷰 사계절 에어컨’을 18일 출시한다고 밝혔다.
신제품은 스탠드형 올인원 에어컨이다. LG전자의 핵심부품인 듀얼 인버터 컴프레서로 냉매를 압축·순환시켜 따뜻한 바람을 만드는 고효율 히트펌프 기술을 적용했다.
이 제품은 환절기뿐만 아니라 실외 온
삼성전자는 독일 베를린에서 유럽 전역에서 모인 인플루언서와 미디어에 세탁건조기 '비스포크 AI 콤보'를 소개했다고 17일 밝혔다.
비스포크 AI 콤보의 유럽 출시일에 맞춰 개최된 이번 행사에는 15개국의 인플루언서와 미디어 60여 명이 참여했다.
행사는 소비자 일상을 개선하는 비스포크 AI 콤보 특징을 주제로 한 △공간 절약(Save Spac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