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1위 가상자산 거래 플랫폼 '업비트'를 운영하는 두나무가 가상자산 시장 회복세에 힘입어 지난해 영업이익 '1조 클럽'에 복귀했다. 2위 사업자인 빗썸도 흑자로 전환하며 시장 회복의 수혜를 누렸다.
1일 가상자산 업계에 따르면 지난해 국내 가상자산 원화 거래소들의 실적은 거래량 증가에 힘입어 크게 개선된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해 연초와 연말 각각
패션 플랫폼업계 1위 무신사가 처음으로 연 매출 1조 원을 돌파했다.
무신사는 지난해 연결 기준 매출이 전년 대비 25.1% 증가한 1조 2427억 원을 기록했다고 31일 밝혔다. 영업이익은 1028억 원, 당기순이익 698억 원으로 집계됐다. 연간 거래액은 4조5000억 원이다.
작년 매출을 형태별로 분류하면 수수료 매출이 4851억 원으로 전년보
지난해 매출 1조 원을 넘긴 보령이 지속해서 핵심 산업인 제약사업의 경쟁력을 높여 전략 사업인 우주 의학 분야 성장에 도전하겠다고 강조했다.
보령은 31일 서울 종로구 보령 본사에서 제61기 정기주주총회를 개최했다. 보령은 지난달 이사회를 열고 김정균·장두현 각자 대표 체제에서 ‘오너 3세’ 김정균 단독 대표 체제로 변경했다. 불확실한 경영 환경 속에
국내 제약업계 최초로 연매출 2조 원을 돌파하는 기업이 탄생하는 등 전통 제약사들이 지난해에도 최대 실적 릴레이를 펼쳤다. 해당 제약사들의 사업보고서를 살펴본 결과 회사의 규모와 평균 연봉이 반드시 비례하지는 않았다. 또한 대표적인 장기 근속 업계로 알려져 있어도 기업마다 차이는 있었다.
27일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에 따르면 연매출 기준 상위 10대
CXO연구소, 주요 삼성 계열사 21곳 매출 현황 조사60곳 넘는 삼성계열사 작년 전체 매출 397~402조 예상삼성전자 작년 매출 역대 2위 기록
지난해 삼성그룹 국내 계열사 전체 매출은 400조 원 내외 수준을 보일 것으로 예측됐다. 2022년 418조 원으로 가장 높을 때와 비교하면 두 번째로 높은 그룹 매출 규모다.
삼성 계열사 중에서는 삼성
진격의 삼양식품이 자사 대표제품인 ‘불닭볶음면’을 앞세워 연간 해외 매출 1조 원 시대를 열었다.
삼양식품은 지난해 연결기준 해외 매출이 1조3359억 원을 기록했다고 19일 밝혔다. 이는 전년(8093억 원) 대비 65% 늘어난 규모다.
2016년 900억 원대였던 삼양식품의 해외 매출 규모는 2020년 3000억 원, 2022년 6000억 원을
증권가 3월 임기 만료 CEO 다수호실적 힘입어 ‘연임’ 무게대외적 불확실성에…변화보단 ‘안정’ 택해변화 모색한 일부 증권사는 수장 교체
3월 주주총회 시즌을 맞아 임기가 만료되는 증권사 최고경영자(CEO) 거취에 이목이 쏠리고 있다. 지금까지는 실적이 좋았던 증권사를 중심으로 ‘연임’에 방점을 두는 분위기다. 수장 교체는 변화가 필요한 일부 중소형
소비자 지갑 연 가성비 브랜드 매출↑...다이소 화장품 지난해 144% 성장 편의점 초저가 PB 불티나게 팔려…SPA 패션 브랜드 인기 치솟아
지난해부터 이어진 고물가와 소비심리 위축으로 국내 유통업체들의 한숨이 깊지만, 그 중에서도 매출 성장을 거듭한 곳은 있다. 가성비(가격 대비 성능)와 초저가를 앞세워 소비자들의 지갑을 속속 열고 있는 것이다.
△LG, 자사주 6만249주 소각해 주주가치 제고
△클리오, 작년 영업익 246억300만 원…전년 대비 27% 감소
△포스코인터내셔널, 3월 24일 주주총회 소집
△포스코인터내셔널, 업무상 배임죄 또는 업무상 횡령죄 발생
△파두, 해외 낸드플래시 메모리 제조사와 기업용 SSD 컨트롤러 공급 계약 체결…30억 1961만 원
△한국선재, 작년 영업
美 주식거래 서비스 경쟁력 강화대형사 해외부문 리테일 수익 늘자 포트폴리오 다변화 필요성 커져
증권사들이 다시 리테일 고객 잡기에 집중하고 있다. 최근 서학개미(해외증시에 투자하는 국내 투자자)가 급증하며 리테일에 강한 대형 증권사의 수익성이 개선되자, 중소형사도 수익 포트폴리오 다변화 차원에서 리테일 고객에 눈을 돌리고 있는 것으로 풀이된다.
20
메리츠증권이 지난해 연결 기준 영업이익과 당기순이익이 각각 1조549억 원과 6960억 원을 기록하며 2022년 이후 2년 만에 영업이익 ’1조 클럽‘에 복귀했다고 19일 밝혔다.
메리츠증권은 금융시장 불확실성이 지속되는 가운데 양질의 빅딜을 진행하며 기업금융 실적이 개선됐고, 금리하락에 따른 채권 운용수익 증가로 전년 대비 큰 폭의 실적 개선이 이뤄졌
한국투자증권이 지난해 영업이익과 순이익 모두 1조 원을 넘기며 ‘1조 클럽’에 복귀했다.
한국투자증권은 13일 잠정실적 공시를 통해 지난해 연결기준 영업이익이 전년 대비 93.3% 늘어난 1조2837억 원을 기록했다고 밝혔다. 영업이익이 1조 원을 돌파한 것은 2021년 이후 처음이다.
매출은 21조6342억 원으로 전년보다 0.4% 늘었고, 당기순이익
증권사 CEO 12명 임기 만료 앞둬'1조 클럽 재입성' 미래·한투 연임 유력'충당금 리스크' 중소형사 교체 가능성
내달 임기가 종료되는 증권사 수장들의 거취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호실적을 낸 대형사의 경우 무난히 연임하는 방향으로 무게가 쏠리는 가운데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부실 파고를 넘지 못한 일부 중소형사의 경우 교체 가능성이 커지고
한투·삼성·미래·키움·메리츠順 예상해외 주식거래 확대로 브로커리지 이익↑KB·NH, 실적 개선에도 상대적 부진
국내 증권사들의 수익 기반이 좋아지면서 지난해 영업이익 1조원을 넘어선 소위 '1조 클럽' 증권사가 5개로 증가했다. 미래에셋증권, 한국투자증권, 삼성증권 등의 대형 증권사는 물론 리테일 강자인 키움증권과 투자은행(IB) 사업에 강한 메리츠증
에이피알이 지난해 연매출 7000억 원, 영업이익 1200억 원을 각각 돌파하며 역대 최대 실적을 세웠다. 올해는 ‘1조 클럽’ 가입을 목표로 세웠다.
에이피알은 2024년 연결 기준 매출 7228억 원, 영업이익 1227억 원을 기록했다고 10일 밝혔다. 전년 동기 대비 매출 38.0%, 영업이익 17.7% 증가했다.
화장품·뷰티 부문이 성장을 견인
지난해 영업익 전년 대비 408% 증가2019년 중간지주사 출범 후 최대 실적LNG선 등 고부가 선박 확대하며 美함정 MRO 공략
HD한국조선해양이 2019년 조선 중간 지주사 체제 이후 최대 실적을 거뒀다. 작년 한 해에만 3년 치 일감을 쌓아두며 연간 영업이익 1조 원을 돌파했다. 올해도 도널드 트럼프 미국 행정부의 에너지 수출 정책, 자국 조선업
키움증권은 지난해 연결 영업이익이 1조982억 원으로 전년보다 94.5% 증가한 것으로 잠정 집계됐다고 5일 공시했다. 2021년 이후 3년 만에 영업이익 1조 원이 넘는 증권사들을 지칭하는 '1조 클럽'에 돌아왔다.
지난해 매출은 11조2803억 원으로 전년 대비 18.18%, 순이익은 8349억 원으로 89.43% 늘었다.
4분기 영업이익은 18
보령이 연매출 1조 원 클럽에 가입했다. 보령은 지난해 연결기준 매출 1조171억 원, 영업이익 705억 원을 달성했다고 3일 공시했다. 매출은 전년 대비 18.3%, 영업이익은 3.2% 늘었다.
2019년 매출 5000억 원을 넘긴 보령은 연평균 15% 이상 성장하며 5년 만에 매출 규모를 2배가량 키웠다.
국산 30호 신약 ‘케이캡’과 숙취해소제 ‘컨디션’으로 널리 알려진 HK이노엔이 올해 대망의 연간 매출 1조 원 고지를 넘을 전망이다. 그 중심에는 제약영업 한 길을 굳건히 걸어온 곽달원 HK이노엔 대표가 있다.
1986년 삼성그룹 공채 27기로 입사한 곽 대표는 CJ제일제당 제약사업부문이 CJ헬스케어로 독립하고, HK이노엔으로 거듭나기까지 모든 발자
시공능력평가 상위 10대 건설사들이 연초부터 도시정비사업 1조 원 이상을 수주하며 '1조 클럽'에 입성하고 있다. 지난해와 달리 마수걸이 신고도 빨라지면서 올해 수주액 확대에 대한 기대감이 커지는 분위기다.
2일 정비업계에 따르면 삼성물산 건설부문은 올해 1월 18일 서울 용산구 한남4구역 재개발 사업을 수주했다. 이 사업지는 보광동 일대를 재개발해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