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신 잔액 14.6조·수신 잔액 27.5조고객수 32.6%↑…중저신용자 비율 33.9%이은미 대표 “혁신과 경계 없는 포용 지속”토스뱅크가 지난해 당기순이익 457억 원을 기록하며 출범 이후 처음으로 첫 연간 흑자를 달성했다.
31일 토스뱅크는 지난해 연간 당기순이익 457억 원을 실현하며 여섯 개 분기 연속 흑자를 기록, 출범 후 첫 연간 흑자 달성에
한국씨티은행이 지난해 3119억 원의 당기순이익을 시현했다고 28일 밝혔다. 이는 전년 대비 12.4% 증가한 수치다.
지난해 총수익은 전년 대비 4.2% 늘어난 1조1758억 원으로 집계됐다. 이중 이자수익은 7560억 원을 기록해 전년보다 12.2% 줄었다.
순이자마진(NIM)이 2023년 2.64%에서 지난해 2.78%로 개선됐다. 소비자금융 철수
금감원, 2024년 외국은행 국내지점 영업실적이자이익, 전년 대비 22.2%↓···비이자익은 ↑
외국계 은행 국내지점이 지난해 1조7801억 원의 순이익을 기록했다.
27일 금융감독원이 발표한 '2024년 외국은행 국내지점 영업실적'에 따르면 지난해 33개 외국은행 국내지점(UBS 제외)의 당기순이익은 1조7801억 원 전년(1조5560억 원)보다
SC제일은행은 지난해 당기순이익 3311억 원을 기록해 전년 동기(3506억 원)보다 195억 원(5.6%) 감소했다고 14일 밝혔다. 철저한 비용 관리와 대손충당금 전입액 감소에도 불구하고 홍콩 H지수 ELS 상품의 배상 추정액(1030억 원)을 일회성 영업외비용으로 인식한 데 따른 것이다.
같은 기간 영업이익은 5284억 원으로 전년 동기(4712억
이자이익은 59.3조…증가율 둔화
지난해 국내 은행들이 22조 원의 순이익을 거둔 것으로 나타났다. 이자이익 증가율은 전년 대비 크게 둔화했다.
14일 금융감독원이 발표한 ‘2024년 국내은행 영업실적(잠정)’에 따르면 국내은행의 순이익은 22조4000억 원으로 전년(21조2000억 원)보다 1조2000억 원(5.5%) 증가했다.
주가연계증권(ELS)
중기대출 최대 0.30%p·직장인신용대출 0.20%p ↓"금융비용 경감 지속 추진할 계획"
금융당국이 시중은행의 대출금리 인하를 강력히 압박하는 가운데, 우리은행이 한국은행의 기준금리 인하에 맞춰 주요 대출의 가산금리 추가 인하를 결정했다. 이는 금융당국의 정책 기조에 부응하는 동시에, 고객들의 금융 부담을 조기에 경감하기 위한 선제적 조치다.
26일
뤼튼테크놀로지스, 딥시크 ‘안전서비스’ 운영이스트소프트, AI 검색서비스 ‘앨런’에 R1 적용“가격 저렴한데 성능은 비슷...활용도 높다”MS·AWS 등 글로벌 빅테크도 적극 도입
정부가 중국의 생성형 인공지능(AI) ‘딥시크’ 애플리케이션(앱)의 국내 서비스를 잠정 중단했지만, 기업들은 딥시크의 추론형 AI 모델 '알원(R1)'을 활용한 서비스를 계
이자이익 8조4972억·비이자이익 1조7991억농협은행, 지난해 순이익 1조8070억
NH농협금융지주는 지난해 당기순이익 2조4537억 원을 기록했다고 14일 밝혔다. 이는 전년 같은 기간 대비 11.4%(2514억 원) 증가한 사상 최대 실적이다.
이자이익은 순이자마진(NIM)하락으로 작년 대비 소폭 하락했으나 수수료 이익·보험수익 등 비이자이익 부문
삼성증권이 기업은행은 향후 배당성향의 개선 속도 확인이 최대 관건이 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김재우, 박준규 삼성증권 연구원은 11일 이같은 이유로 기업은행에 대해 투자의견 ‘홀드(중립)’, 목표주가는 1만6800원을 제시했다. 전날 종가는 1만5150원이다.
삼성증권은 “기업은행의 2025년 연간 PBR 0.42배 및 기대 배당수익률 7.5%는 매력
KBvs신한, 비은행이 가른 '리딩금융' 비은행 키운 하나, 밸류업도 속도 우리, 은행 비중 93%, 비은행 강화 시급
올해 금융권의 화두는 '비은행 경쟁력'이 될 것으로 보인다. 비은행 부문은 금융지주의 실적 경쟁에서 승패를 가르는 중요한 요인이 됐다.
비은행 계열사의 기여도가 컸던 KB금융은 지난해 업계 최초로 순이익 '5조 클럽' 입성에 성공했
총이익 중 이자이익 88% 차지… 대출 의존도 심각인구 줄고 고령화 빨라진다… 대출시장 매력도↓ "비이자사업과 신탁·자산운용 등 새로운 전략 모색"
국내 은행들이 고금리 기조 속에서 사상 최대 순이익을 경신하는 가운데 대출 위주의 수익 구조에서 벗어나야 한다는 지적이 나온다. 인구 감소와 고령화로 대출 시장의 성장성이 둔화되면서 비이자사업과 신탁·자산운용
DGB금융 2024년 경영실적 콘퍼런스콜"부동산 PF 관련 리스크 거의 다 소멸"iM뱅크, 유연한 성장 정책 통해 NIM 관리
DGB금융그룹의 지난해 실적이 증권사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대손충당금으로 인해 악화한 가운데, 올해에는 PF 관련 부담에서 벗어날 수 있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또, 올해 전국에 4개 센터를 추가 설립하는 등 '하이브리
지난해 iM뱅크 순이익 2.0% 증가 iM증권 올해부터 수익성 회복 기대 자사주 600억 소각 실행 계획 발표보통주 1주당 500원 현금배당 결의
DGB금융그룹이 실적발표를 통해 지난해 누적 지배주주지분 당기순이익 2208억 원을 기록했다고 7일 밝혔다. 이는 전년 대비 43.1% 감소한 수치로, 비은행 계열사의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등 취약
LS증권은 7일 BNK금융지주에 대해 수익성 개선으로 적극적인 주주환원이 가능할 것이라며 목표주가를 1만4500원으로 기존 대비 7% 올렸다. 투자의견은 매수를 유지했다.
전배승 LS증권 연구원은 "외형성장 보다는 수익성 중심 경영기조의 긍정적 효과가 나타나고 있어 적극적 주주환원정책 추진이 가능할 전망"이라며 "자사주 매입소각 규모가 지속 확대되면서
신한은행, 순이익 3.7조…사상최대 실적으로 '리딩뱅크'올해 6500억 자사주 취득·소각…"올해 핵심 지표 개선 이행"
신한금융그룹이 핵심 계열사인 신한은행의 안정적인 성장을 바탕으로 지난해 4조5175억 원의 순이익을 거뒀다. 신한은행은 역대 최대 실적을 기록하며 KB국민은행과 하나은행을 제치고 '리딩뱅크' 자리를 꿰찼다.
신한금융은 지난해 연간 당
4분기 순이익 4734억원…전년 대비 63.5%↑ "총 1.75조 상회하는 주주환원 이행 예정"
신한금융그룹이 핵심 계열사인 신한은행의 안정적인 성장을 바탕으로 지난해 4조5175억 원의 순이익을 거뒀다. 신한금융은 주주환원책 강화를 위해 5000억 원 규모의 자사주 취득·소각 계획도 내놨다.
신한금융은 지난해 연간 당기순이익이 4조5175억 원으로
국내 금융그룹 최초로 순익 5조 원 시대를 연 KB금융의 양종희 회장이 밸류업(기업가치 제고) 프로그램을 본격적으로 확대한다. 지난해 발표한 기업가치 제고 계획 약속을 지키기 위한 것이다. KB금융은 상반기 약 5200억 원 규모의 자사주 매입·소각을 시작으로 연간 총 1조7600억 원을 주주환원에 투입할 계획이다.
지난해 당기순익 5조782억…비은행
카카오뱅크가 역대 최대 순이익을 달성했다는 소식에 강세다.
5일 오전 9시 38분 현재 카카오뱅크는 전 거래일 대비 6.81% 오른 2만2750원에 거래되고 있다.
카카오뱅크는 지난해 당기순이익이 전년 같은 기간보다 24% 증가한 4401억 원으로 집계됐다고 밝혔다. 연간 실적 기준으로 역대 최대 규모다. 연간 영업이익은 6069억 원으로 전년 대비
이자수익 15% 증가…주담대 잔액 39% 급증“중저신용자 대출 30% 이상…연체율 안정적 관리”대출이자 외 수익 비중 30% 달성…수익원 다변화고객 수 2488만, MAU 1890만 명 역대 최고치 기록
카카오뱅크가 지난해 사상 최대 실적을 거뒀다.
카카오뱅크는 지난해 당기순이익이 전년 대비 24% 증가한 4401억 원으로 집계됐다고 5일 밝혔다. 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