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GB금융 "올해 PF 부담 벗어날 것…주주환원ㆍ전국은행 전략 추진"

입력 2025-02-07 18:12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DGB금융 2024년 경영실적 콘퍼런스콜
"부동산 PF 관련 리스크 거의 다 소멸"
iM뱅크, 유연한 성장 정책 통해 NIM 관리

(사진제공=DGB금융그룹)
(사진제공=DGB금융그룹)

DGB금융그룹의 지난해 실적이 증권사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대손충당금으로 인해 악화한 가운데, 올해에는 PF 관련 부담에서 벗어날 수 있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또, 올해 전국에 4개 센터를 추가 설립하는 등 '하이브리드 뱅킹을 통한 저비용 구조의 전국적 커버리지 확대'라는 기존 전략을 변함없이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7일 DGB금융은 실적 발표를 통해 지난해 연간 당기순이익이 전년 대비 43.1% 감소한 2208억 원으로 집계됐다고 밝혔다. 4분기 기준으로는 318억 원 적자를 냈다.

실적 악화에는 증권사의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관련 대손비용 영향이 컸다. iM증권의 PF 대손비용은 지난해 4분기 약 517억 원으로 집계됐다. 이에 지난해 연간 그룹 충당금전입액은 7324억 원으로, 전년(6068억 원)보다 20.7% 증가했다.

천병규 그룹 최고재무책임자(CFO)는 이날 콘퍼런스콜에서 "iM증권의 부동산 PF 관련 대손충당금은 지난해 2분기를 정점으로 지속 하향 중"이라며 "증권 PF 충당금의 3년 누적 적립액은 지난해까지 약 5394억 원으로, 지금까지 적극적으로 대응한 점을 고려할 때 부동산 PF 관련 리스크는 거의 다 소멸한 것으로 보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천 부사장은 "올해 iM증권이 흑자전환하는 경우, 그 기저효과로 그룹의 이익은 자연스럽게 크게 증가할 것"이라면서도 "기저효과에만 의존하지 않고 안정적인 재무 기반을 바탕으로 그룹의 실적을 정상궤도에 올릴 수 있도록 수익성 관리에 집중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iM증권은 지난해 1588억 원 적자를 냈다.

DGB금융은 핵심 자회사 iM뱅크의 '하이브리드 뱅킹을 통한 저비용 구조의 채널 전략 기반 전국 커버리지 확대'라는 전략적 방향성에는 변화가 없다고도 강조했다.

다만 이날 콘퍼런스콜에서는 은행의 성장세가 둔화됐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지난해 기준 원화대출금은 2조3849억 원으로, 전년 대비 20.4% 증가했다. 2023년보다 전년 대비 증가 폭(69%)이 쪼그라들었다.

천 부사장은 "전국구 은행으로 확대하는 전략 방향에는 변화가 없지만, 속도 부분에 있어서 약간의 조정이 필요하다는 생각을 했다"며 "밸류업 주주가치 제고 관련 방향성이 명확히 정해지는 등 국내 금융시장 전체에 큰 변화가 있었기 때문"이라고 역설했다.

이어 "원주 지점을 포함한 세 곳의 금융센터 개설에 이어 올해에도 4개의 지역 거점 설치가 예정돼 있고 3년 내 14개 센터를 통해 전국을 커버하겠다는 기본적인 전략에는 변함이 없다"고 부연했다. 이들 센터는 PRM(1인 지점장)을 지원하고, 디지털 고객을 케어할 수 있는 비용 효율적인 형태의 조직이다.

지난해 5월 지방은행에서 전국구 은행으로 전환한 iM뱅크는 작년 연간 당기순이익이 3710억 원으로 집계됐다. 이는 전년 대비 2.0% 소폭 증가한 수준이다. 은행의 자기자본이익률(ROE)은 7.55%로 전년(7.59%)보다 0.04%포인트(p) 하락했다. 이자이익은 1조5390억 원으로 전년(1조4985억 원)보다 늘었지만, 순이자마진(NIM)은 같은 기간 2.04%에서 1.90%로 내려갔다. 작년 중도금 집단대출의 만기가 일시에 집중되면서 상대적으로 금리가 낮은 잔금 대출로 대환이 급증한 영향이다.

은행 NIM과 관련해 천 부사장은 "기준금리가 추가로 인하되는 경우, 하락요인이 있지만, 현재 진행 중인 '디지털을 통한 저원가성 예금 확대 전략'이 잘 적용되면 실질적인 NIM 하락 폭이 크지 않을 것"이라고 내다봤다.

이날 DGB금융 이사회는 보통주 1주당 500원의 현금 배당을 결정했다. 또, 2023년 매입한 자사주 약 275만 주를 소각하기로 했다. 여기에 더해 400억 원의 자사주를 매입하고 즉시 소각할 것을 결의했다.

천 부사장은 콘퍼런스콜에서 "2027년까지 보통주자본비율 12.3% 달성과 함께 자사주 매입 소각 확대와 안정적인 배당 정책을 통해 주주환원율 40%를 목표로 주주 환원 정책을 펼 것"이라며 "올해 계열사별 수익성, 재무건전성, 자본 적정성 관리를 강화해 기업 가치 제고 계획을 성실히 이행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삐이~" 새벽잠 깨운 긴급재난문자, 데시벨도 달라진다고? [해시태그]
  • 칸예, '아내 누드쇼'→'디디 게이트' 샤라웃?…'칸쪽이'는 왜 그럴까 [솔드아웃]
  • 경쟁국은 자국산업 보호로 바쁜데…기업 옥죌 궁리만 하는 韓 [反기업법, 벼랑끝 제조업]
  • 금 사상 최고가 행진에 은행 골드뱅킹 ‘화색’
  • '완전체 컴백' 앞두고 날갯짓 편 블랙핑크…4인 4색 차량 열전 [셀럽의카]
  • 비트코인, 숨고르기 들어가나…연준 모호한 발언 속 내림세 [Bit코인]
  • 제주공항 오늘 윈드시어 특보…지연·결항 속출
  • ‘이 정도면 짜고 친듯’…식품업계 이번주 잇단 가격 인상 발표, 왜?
  • 오늘의 상승종목

  • 02.07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53,396,000
    • +0.01%
    • 이더리움
    • 4,297,000
    • -0.85%
    • 비트코인 캐시
    • 513,500
    • +0.49%
    • 리플
    • 3,879
    • +3.5%
    • 솔라나
    • 310,800
    • +0.42%
    • 에이다
    • 1,150
    • -0.69%
    • 이오스
    • 943
    • +0.75%
    • 트론
    • 358
    • +0%
    • 스텔라루멘
    • 526
    • +1.54%
    • 비트코인에스브이
    • 62,500
    • +0.73%
    • 체인링크
    • 30,280
    • -0.1%
    • 샌드박스
    • 616
    • +1.32%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