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준금리, 2001년 후 11번 추경 중 6번 인하…올 4∼5월 추경때 하향 가능성”

입력 2015-02-25 16:18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의 기준금리 인하 조치가 오는 4∼5월 추가경정예산 편성을 전후해 단행될 가능성이 있다는 분석이 나왔다.

동부증권은 25일 보고서를 통해 추경예산 편성과 함께 정책조합 차원에서 기준금리가 인하될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고 전망했다.

추경예산은 1분기에 부가가치세를 중심으로 세목별 수입의 밑그림이 그려지고 세수 부족이 가시화하면 4∼5월을 전후해 5조∼10조원 규모로 편성될 가능성이 크다고 예상했다.

문홍철 동부증권 채권전략팀 연구원은 “추경예산은 교과서적으로는 국채발행 증가로 인해 금리상승 요인이지만 과거 경험상 금리인하가 동반됐던 사례가 많다”고 말했다.

실제로 지난 2001년 이후 11차례의 추경예산 편성 가운데 6차례 기준금리 인하가 병행됐다고 지적했다. 기준금리가 추경예산과 함께 인상된 적은 4차례로, 인하에 비해선 횟수가 적었다.

2001년 9·11 테러사태와 쌀값 안정 지원을 위해 1조6440억원의 2차 추경예산이 편성됐을 때 기준금리 인하가 이뤄진 것을 시작으로, 2003년 1차, 2004년, 2008년, 2009년, 2013년 추경예산 편성때 기준금리 인하가 동반됐다.

올들어 미국 시중 금리의 반등 움직임에도 불구하고 전세계 중앙은행들의 통화정책은 완화 추세를 이어가고 있다. 지난 23일 이스라엘 중앙은행은 기준금리를 0.25%에서 사상최저치인 0.1%로 인하하면서 올들어 기준금리를 내린 20번째 중앙은행으로 기록됐다. 또 스웨덴은 기준금리를 마이너스( - )로 전환해 예치금리가 아닌 기준금리를 기조적으로 마이너스로 설정한 첫 중앙은행이 됐다.

동부증권은 정부와 한은이 기준금리 인하에 대해 말을 아끼는 것은 가계부채에 대한 여론부담때문이라고 지적했다. 하지만 세계 각국의 기준금리 인하와 유가급락으로 원화 가치가 상대적으로 강세를 띠고 있어 우리나라의 통화정책이 세계추세를 역행하기는 어려울 것이라고 내다봤다.

문 연구원은 “금리인하의 명분을 쌓는 시간이 필요하겠지만 늦어지면 미국의 기준금리 인상 논의와 맞물리면서 인하시기를 놓칠 수도 있다”며 “금통위의 인하 시점은 개각관련 인사청문회가 끝나고 가계부채 종합대책이 발표된 이후, 미 기준금리 인상 논의가 개시되기 전이 될 가능성이 높아보인다”고 내다봤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10명 중 8명 "하반기 경영여건 어렵다"…관치보다 '정치금융' 더 압박[금융사 CEO 설문조사]
  • K 붙은 식음료·뷰티 ETF 모두 잘 나가는데…‘이 K’는 무슨 일?
  • 예금자보호한도 상향 논의 재점화…올해는 바뀌나
  • "청약 기회 2년 날렸다"…공사비 급등에 또 취소된 사전청약 사업
  • 필카부터 네 컷까지…'디토 감성' 추구하는 '포토프레스 세대'[Z탐사대]
  • 하반기에도 IPO 대어 더 온다…공모주 기대감 여전
  • 유사투자자문업, 정보·운영 제각각…8월 자본법 개정안 시행에 당국 부담도 ↑ [유사투자자문업 관리실태]②
  • SK그룹, 2026년까지 80조 원 확보… AI·반도체 등 미래 투자
  • 오늘의 상승종목

  • 06.28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88,285,000
    • +2.89%
    • 이더리움
    • 4,833,000
    • +1.7%
    • 비트코인 캐시
    • 555,000
    • +3.54%
    • 리플
    • 670
    • +0.75%
    • 솔라나
    • 206,000
    • +4.41%
    • 에이다
    • 551
    • +1.85%
    • 이오스
    • 810
    • +1.63%
    • 트론
    • 176
    • +0%
    • 스텔라루멘
    • 127
    • +0%
    • 비트코인에스브이
    • 63,350
    • +2.84%
    • 체인링크
    • 20,020
    • +5.2%
    • 샌드박스
    • 467
    • +1.52%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