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폰5S 판매, 예상 웃돌아…애플 실적엔 악영향?”

입력 2015-04-09 10:42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강달러와 함께 아이폰 평균 판매가 651달러로 낮출 듯”…소시에테제네랄, 애플 투자의견 ‘보유’로 하향…

▲애플 아이폰5S. 출처 블룸버그

구형 아이폰인 ‘아이폰5S’ 판매가 예상을 웃도는 호조를 보이면서 애플 실적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경고가 제기됐다고 8일(현지시간) 미국 비즈니스인사이더가 보도했다.

소시에테제네랄의 앤디 퍼킨스 애널리스트는 이날 보고서에서 “구형 아이폰5S에 대한 수요가 늘어나고 있다”며 “전체 아이폰 판매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애플 2015 회계연도 1분기(지난해 10~12월)의 10%에서 회계 2분기 20%로 높아질 것”이라고 내다봤다.

그는 “일반적으로 새 모델이 출시되면 구형 모델 수요가 회복되지 않는다”며 “이는 어리둥절한 결과”라고 덧붙였다. 퍼킨스는 애플 아이폰 위탁생산업체인 혼하이와 페가트론의 휴대폰 수출량을 통해 이런 결과를 도출했다. 그는 아이폰 평균 판매가가 지난 분기에 651달러로, 전분기의 687달러에서 하락했을 것으로 추정했다.

퍼킨스의 추산이 맞는다면 애플에 문제가 될 수 있다고 비즈니스인사이더는 전했다. 아이폰5S는 아이폰6보다는 100달러, 아이폰6S 플러스보다는 200달러 저렴하다.

퍼킨스 애널리스트는 “달러 강세도 아이폰 평균 판매가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라며 애플 투자의견을 종전 ‘매수’에서 ‘보유’로 하향 조정했다. 다만 주가 전망은 100달러를 유지했다.

그는 지난 분기 실적에 대한 우려 이외에 “지난해 크게 성공한 아이폰6 출시 이후 아이폰 판매를 확대할 요소가 눈에 띄지 않는다는 점도 문제”라고 지적했다. 아이폰6는 애플에 부족했던 대형화면 스마트폰을 갖춘 것이기 때문에 이후 판매 확대를 이끌만한 새 요소가 보이지 않는다는 것이다. 그는 “아이폰 포트폴리오의 가장 큰 구멍이 채워졌다”며 “애플은 이미 전 세계 메이저 이동통신업체에 아이폰을 공급하기 때문에 지정학적 확대도 한계가 있다”고 지적했다.

애플워치에 대해서도 회의적으로 봤다. 그는 “애플워치가 앞으로 최소 1년간 애플에 ‘게임 체인저(game changer)’가 될 것 같다”고 내다봤다.

소시에테제네랄의 부정적 전망에 애플 주가는 이날 뉴욕증시 상승세에도 0.33% 하락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국내보다 낫다"…해외주식에 눈 돌리는 대학생 개미들 [데이터클립]
  • "웃기려다가 나락"…'피식대학'→'노빠꾸 탁재훈'이 보여준 웹예능의 퇴보 [이슈크래커]
  • K-푸드, 수출 주역으로 '우뚝'…10대 전략산업 넘본다 [K-푸드+ 10대 수출 전략산업②]
  • "서울 집값·전세 계속 오른다"…지방은 기대 난망 [하반기 부동산시장 전망①]
  • 줄줄 새는 보험료…결국 가입자 '쥐어짜기' [멍든 실손개혁下]
  • 피겨 이해인 "미성년 성추행 사실 아냐…부모님 반대로 헤어진 후 다시 만나"
  • 급전 끌어 쓰고 못 갚고…현금서비스·카드론 잔액 동반 증가
  • ‘유퀴즈’ 빌리 아일리시, 블랙핑크 제니와 각별한 우정…“평소에도 연락, 사랑한다”
  • 오늘의 상승종목

  • 06.27 13:03 실시간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86,141,000
    • -1.47%
    • 이더리움
    • 4,771,000
    • -0.42%
    • 비트코인 캐시
    • 532,000
    • -3.1%
    • 리플
    • 662
    • -1.34%
    • 솔라나
    • 193,600
    • -0.97%
    • 에이다
    • 539
    • -2.53%
    • 이오스
    • 808
    • -0.25%
    • 트론
    • 174
    • +1.16%
    • 스텔라루멘
    • 126
    • -2.33%
    • 비트코인에스브이
    • 62,750
    • -2.56%
    • 체인링크
    • 19,540
    • -2.3%
    • 샌드박스
    • 469
    • -0.85%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