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루 한 생각] 5월 2일 務玆稼穡(무자가색) 씨 뿌리고 거두고 농사에 힘쓴다

입력 2015-05-02 07:25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주필 겸 미래설계연구원장

천자문은 중국 남조(南朝) 양(梁)의 원외산기시랑(員外散騎侍郞) 주흥사(周興嗣·470?∼521)가 양 고조의 명에 의해 지은 것이다. 사언고시(四言古詩) 250구(句)를 하룻밤에 다 쓰고 나니 머리가 허옇게 쇠었다고 백수문(白首文)이라고도 한다.

내용상 4개 장과 어조(語調) 부분으로 분류되는데, 처신치가지도(處身治家之道)를 말한 네 번째 장은 치본어농 무자가색(治本於農 務玆稼穡)으로 시작된다. ‘농사짓는 일로 나라의 근본을 삼아 백성들은 씨 뿌리고 거두기에 힘을 다하네’라는 뜻이다.

조선시대 왕의 선정(善政)만 모은 국조보감(國朝寶鑑)의 숙종 9년(1691) 윤 7월에 다음과 같은 기록이 있다. 이하 천자문에 대한 숙종의 생각. “동궁이 바야흐로 천자문을 강습하는데, 천성이 총명하고 지혜가 날로 자라나서 머지않아 더욱 학문에 뜻을 두게 될 것이다. 매번 글을 읽을 때에는 글자의 새김을 알 뿐만 아니라 반드시 반복하여 뜻을 궁구하고 유추하여 키워나가야 할 것이다. ‘효도에는 있는 힘을 다 해야 한다’[孝當竭力]를 읽으면 문왕(文王)이 하루에 세 번 문안한 것을 생각하여 반드시 부드러운 얼굴빛과 성실한 자세를 갖추게 되고, (중략) ‘농사를 힘쓴다’[務玆稼穡]를 읽게 되면 밥상의 쌀 한 톨도 다 백성들이 고생하여 지은 것임을 알게 되어 반드시 검소한 생활로 씀씀이를 절약하고 국가를 위해 복을 끝까지 다 누리려 하면서 밤낮으로 열심히 행실로 옮길 것이니, 개발하고 성취하는 데에 도움이 없지 않을 것이다.”

조선시대 사직단(社稷壇)에서 행해진 각종 의식 등을 기록한 사직서의궤(社稷署儀軌)에도 이 말이 나온다. 제사 때 읊던 말이다. “좋은 종자를 내려 주니/농사에 힘을 쓰고/온갖 곡식이 잘 영그니/많은 백성이 두루 혜택을 받도다”[誕降嘉種 務玆稼穡 百穀用成 群黎徧德](하략) fusedtree@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새 학기 전 내 아이 안경 맞춰줄까…‘서울 어린이 눈건강 지킴이 사업’ 신청방법은 [경제한줌]
  • [트럼프 2기 한 달] 글로벌 경제, 무역전쟁 재점화에 ‘불확실성 늪’으로
  • 집안 싸움 정리한 한미약품, ‘R&D 명가’ 명성 되찾을까
  • 활기 살아나는 국내 증시…동학개미 '빚투'도 늘었다
  • [날씨] 전국 맑고 '건조 특보'…시속 55km 강풍으로 체감온도 '뚝↓'
  • 트럼프發 반도체 패권 전쟁 심화…살얼음판 걷는 韓 [반도체 ‘린치핀’ 韓의 위기]
  • MRO부터 신조까지…K조선, ‘108조’ 美함정 시장 출격 대기
  • ‘나는 솔로’ 24기 광수, 女 출연자들에 “스킨쉽 어떠냐”…순자 “사기당한 것 같아”
  • 오늘의 상승종목

  • 02.20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43,800,000
    • +0.66%
    • 이더리움
    • 4,052,000
    • +0.42%
    • 비트코인 캐시
    • 479,200
    • +1.03%
    • 리플
    • 3,991
    • +4.83%
    • 솔라나
    • 254,700
    • +1.43%
    • 에이다
    • 1,160
    • +3.39%
    • 이오스
    • 957
    • +4.36%
    • 트론
    • 354
    • -2.48%
    • 스텔라루멘
    • 507
    • +3.05%
    • 비트코인에스브이
    • 56,850
    • +1.34%
    • 체인링크
    • 26,920
    • +1.24%
    • 샌드박스
    • 548
    • +2.24%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