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리바바, 미국시장 진출 난항…다시 중국에 초점

입력 2015-06-24 10:48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미국 온라인 장터 11메인 매각하고 중국 온라인 음식배달 서비스 ‘커우베이’에 1조원 투자

중국 최대 전자상거래업체 알리바바그룹홀딩이 미국시장 진출에 난항을 겪자 다시 자국 서비스 확대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알리바바는 1년 전 서비스를 시작했던 미국 온라인 전자상거래 자회사인 11메인을 경쟁사인 오픈스카이에 매각하기로 합의했다고 23일(현지시간) 월스트리트저널(WSJ)이 보도했다.

회사는 구체적인 매각 금액을 공개하지는 않았지만 대가로 오픈스카이 지분 37.6%를 받았다고 밝혔다.

같은 날 알리바바는 금융 자회사인 앤트파이낸셜서비스그룹과 각각 30억 위안씩, 총 60억 위안(약 1조687억원)을 알리바바 온라인 음식배달 서비스 ‘커우베이’에 투자하기로 했다고 전했다.

이는 택시 앱에서 영화 티켓 구매 등 빠르게 발전하는 중국 ‘온라인 투 오프라인(O2O)’시장을 겨냥한 것이라고 WSJ는 풀이했다.

한 날 동시에 발표된 두 가지 딜은 알리바바 경영 우선순위가 여전히 중국에 있음을 보여준다는 평가다. 알리바바의 최종 목표가 미국시장 진출일 수는 있겠지만 당분간 중국시장에서의 확고한 지위 구축에 주력한다는 것이다. 알리바바는 중국 온라인 쇼핑시장의 약 80% 점유율을 차지하고 있으나 다른 IT 분야에서는 텐센트 등과 치열할 경쟁을 벌이고 있다.

알리바바 임원들은 회사의 해외전략 초점이 외국의 상인이나 브랜드가 중국 소비자들에게 접근할 수 있도록 하는데 맞춰져 있다고 강조해왔다. 아직까지 미국에서 아마존, 이베이와 경쟁하기에는 역부족임을 인정한 것이다.

11메인 실패와는 별도로 알리바바는 미국 내 투자를 늘리고 있다고 WSJ는 전했다. 회사는 지난 3월 미국 인기 스마트폰 메시징앱 스냅챗에 2억 달러를 투자했다. 영상통화앱 탱고미와 모바일 검색엔진 퀵시, 차량공유 앱 리프트 등도 알리바바가 투자한 미국 회사 목록에 올라와있다.

알리바바가 해외 스타트업에 대한 투자를 계속하고 있지만 여전히 성장할 수 있는 단기 기회는 중국시장에 있다고 WSJ는 강조했다. 다만 커우베이가 현재 중국 온라인 음식배달 서비스시장을 장악하고 있는 텐센트 대항마로 부상할지는 미지수다. 텐센트는 음식점 리뷰 사이트 ‘뎬핑’, 배달 서비스 앱 ‘Ele.me’ 지분을 보유하고 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플레이브가 방송 못 나온다고?"…때아닌 버추얼 아이돌 논란, 왜? [이슈크래커]
  • '김새론 사망'에 악플러들 비판…"악플 문제, 제도장치 마련해야"[이슈크래커]
  • 금 뜨자 주목받는 은…"아직 저렴한 가격"
  • 단독 ‘백약이 무효’ 작년 상반기 보험사기액 6028억…올해 최대치 경신 전망
  • 상승 재료 소진한 비트코인…9만6000달러 선에서 횡보 [Bit코인]
  • [날씨] 다시 찾아온 '추위'…아침 최저 -8도
  • 트럼프 “러·우 둘다 싸움 멈추길 원해…푸틴과 매우 곧 만날 것”
  • 월세 내기 빠듯한 청년들 위한 ‘청년월세 한시 특별지원’ 제도, 신청 자격은? [경제한줌]
  • 오늘의 상승종목

  • 02.17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45,432,000
    • -0.46%
    • 이더리움
    • 4,221,000
    • +4.27%
    • 비트코인 캐시
    • 503,500
    • +1.45%
    • 리플
    • 4,075
    • -0.44%
    • 솔라나
    • 279,000
    • -2.75%
    • 에이다
    • 1,233
    • +6.85%
    • 이오스
    • 978
    • +2.73%
    • 트론
    • 370
    • +2.21%
    • 스텔라루멘
    • 520
    • +0.78%
    • 비트코인에스브이
    • 60,600
    • +1.17%
    • 체인링크
    • 29,470
    • +4.17%
    • 샌드박스
    • 616
    • +4.58%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