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B국민은행은 영조주택 대출 특혜 의혹으로 검찰로부터 압수수색을 받자 내부 감사 체계에 대한 우려가 나오고 있다.
7일 금융권에 따르면 부산지방검찰청은 지난 5일 명동에 위치한 KB국민은행 본사를 압수수색했다.
금융당국의 한 관계자는 “부산지검이 영조주택 대표를 수사하는 과정에서 KB국민은행 이름이 나왔다고 들었다”며 “문제가 된 3000억원 가운데 일부를 KB국민은행이 대출한 것으로 알고있다”고 말했다.
지난 2005년 KB국민은행을 포함해 13곳의 금융기관은 영조주택에 프로젝트파이낸싱(PF)을 통해 3000억원을 대출했다. KB국민은행의 대출 규모는 5%(150억원 미만)가 안 되는 것으로 알려졌다.
부산지검이 부산 퀸덤시티 관련 영조주택 대표를 수사하는 과정에서 불법 대출 의혹을 발견했고, 이 일환으로 대출을 허가한 금융기관들이 모두 조사 받는 것으로 전해졌다.
관련 뉴스
![](https://img.etoday.co.kr/pto_db/2015/10/20151007034932_726171_824_173.jpg)
무엇보다 이번 사건은 취약한 KB국민은행의 내부 감사 시스템에 대한 우려로 번지고 있다. 내부 감사를 통해 비리가 모두 적발되는 것은 아니지만 KB국민은행 감사 시스템이 역할을 제대로 하지 못 하는 게 아니냐는 것.
특히 상임감사 자리가 장기간 공석인 점이 이러한 시각을 뒷받침하고 있다. 지난해 이른 바 ‘KB사태’ 이후 KB국민은행에 정병기 상임감사가 선임됐으나 올 1월 사직서를 냈다. 지난 3월 주재성 우리금융경영연구소 대표가 상임감사로 거론됐으나 불발돼 10개월 째 상임감사 자리가 비어있다.
KB국민은행 관계자는 “2005년에 발생했던 일이라 자료 확보 등에 있어 어려움을 겪고 있다”며 “압수수색 후 감사와 법무부에 해당 사실을 보고했고 검찰 수사 결과가 나오면 점검할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