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장인 절반 이상은 최근 공직사회에 도입키로 한 '공무원 3% 퇴출제' 의 영향이 기업 전반을 확산될 것으로 생각하고 있으며 퇴출제가 도입되기를 희망하는 직업군으로 국회의원을 꼽았다.
취업포털 커리어는 3일 "직장인 1528명을 대상으로 '공무원 3% 퇴출제가 기업에 확산될 것으로 생각하는가'에 대한 설문조사 결과 76.7%가 '그렇다'고 답했다"고 밝혔다.
또한 무능 직원 퇴출제가 가장 먼저 도입되었으면 하는 직업군으로는 절반이 넘는 56.2%가 '국회의원'이라고 응답했으며 ▲교사(14.0%) ▲대학교수(10.4%) ▲의사(6.9%) ▲판,검사(3.4%) 등이 뒤를 이었다.
무능 직원 퇴출제가 정착하기 위해 선결돼야 할 조건으로는 '객관적 근무성과 기준 마련'이 40.4%로 가장 높았으며 ▲다양한 평가시스템 마련(27.4%) ▲인사평가기구(조직)의 공정성 및 독립성 강화(17.8%) ▲체계적인 도입단계 적용을 위한 시간 확보(12.9%) 등의 응답이 나왔다.
특히 현재 다니고 있는 직장에서 무능 직원 퇴출제를 도입할 경우 '찬성한다'는 의견은 55.0%, '반대한다'는 45.0%를 기록했다.
찬성이유는 ▲능력자가 인정받을 수 있어서(27.2%) ▲올바른 인사평가시스템 확립에 도움이 될 것 같아서(24.7%) ▲적당주의 의식이 개선될 것 같아서(20.5%) ▲업무효율성이 높아질 것 같아서(15.8%) ▲기업경쟁력 강화(10.3%) 등으로 조사됐다.
반대이유는 ▲고용 불안감 증가(31.1%) ▲구조조정 수단으로 악용될 소지가 있어서(27.5%) ▲윗사람 눈치 보기에 바빠질 것 같아서(21.7%) ▲줄서기 만연 우려(13.4%)로 조사됐다.
커리어 김기태 대표는 "무한 경쟁사회 시대에서 무능 직원을 퇴출시켜 조직이나 기업 경쟁력을 높이는 것도 중요하지만 궁극적으로는 일에 대한 직원들의 의욕을 고취시키고 격려해 나가는데 핵심이 맞춰져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