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g.etoday.co.kr/pto_db/2016/12/20161202102530_981864_300_220.jpg)
글로벌 채권시장 흐름을 추적하는 블룸버그바클레이스글로벌채권종합지수는 지난달 4% 하락해 집계가 시작된 1990년 이후 최대 낙폭을 기록했다고 1일(현지시간) 블룸버그통신이 보도했다. 11월 한 달 간 채권시장에서 사상 최대액인 1조7000억 달러(약 1990조 원)가 증발, 같은 기간 글로벌 증시 시가총액이 6350억 달러 증가한 것과 대조를 이뤘다.
채권 금리의 벤치마크인 미국 10년만기 국채 금리는 지난달 56bp(bp=0.01%포인트) 올라 지난 2009년 이후 최대 상승폭을 기록했다. 이날 10년물 금리는 2.44%로 지난해 6월 이후 최고치를 찍었다. 채권 가격과 금리는 반대로 움직인다.
채권시장의 강세장이 막을 내린 건 트럼프 차기 미국 대통령이 대규모 재정지출 정책을 펼쳐 경제성장과 인플레이션을 가속화할 것이라는 관측이 힘을 얻으면서 안전자산 선호심리가 후퇴한 영향이 크다. 여기다 미국 중앙은행인 연방준비제도(Fed·연준)가 이달 1년 만에 기준금리를 올리고 내년에도 몇 차례 더 금리를 인상하면 글로벌 중앙은행은 향후 국채 매입 규모를 더 줄일 수 있다. 트럼프가 차기 미국 대통령에 당선된 이후 2주간 투자자들은 미국 채권펀드에서 107억 달러를 순매도했다. 이는 지난 2013년 긴축 발작 이후 가장 큰 유출이다.
닛코자산운용의 로저 브리지스 금리·외환 수석 글로벌 투자전략가는 “많은 투자자가 강세장이 끝나가기 시작했다고 믿는다”며 “미국 국채 10년물 금리가 내년 1월에 2.7%까지 오를 수 있다”고 내다봤다. 이어 “유럽중앙은행(ECB)이 이달 8일 정례 통화정책회의에서 양적완화 축소를 논의할 가능성도 있어 채권시장은 매우 취약한 상태”라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