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황_정오] 코스닥 582.74p, 상승세 (▲4.22p, +0.73%) 지속

입력 2016-12-08 12:02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오전에 상승세로 출발했던 코스닥시장이 외국인의 ‘사자’ 매수세에 장 중반에도 상승세를 지속하고 있다.

8일 정오 현재 코스닥지수는 4.22포인트(+0.73%) 상승한 582.74포인트를 나타내며, 580선을 두고 줄다리기를 벌이고 있다.

이 시간 현재 투자자 별 동향을 살펴보면 외국인은 매수세를 보이고 있는 반면 개인과 기관은 매도 중이다.

외국인은 186억 원을 매수 중이며 개인은 32억 원을, 기관은 48억 원을 각각 매도하고 있다.

업종별 현황을 살펴보면 광업(+4.28%) 업종의 상승이 두드러진 가운데, 숙박·음식(+1.54%) 운송(+1.33%) 등의 업종이 오름세를 보이고 있다. 반면에 농림업(-0.74%) 건설(-0.42%) 등은 내림세를 보이고 있다.

그 밖에도 오락·문화(+1.32%) 부동산(+0.88%) 제조(+0.86%) 등의 업종이 동반 상승 중이며, 교육서비스(-0.40%) 기타서비스(-0.18%) 통신방송서비스(-0.14%) 등의 업종이 동반 하락 중이다.

시가총액 상위 20개 종목 중 15개 종목이 상승중이다.

휴젤이 6.42% 오른 31만9800원을 기록 중이고, 메디톡스(+5.18%), 원익IPS(+4.35%)가 상승 중인 반면 로엔(-2.25%), 에스에프에이(-1.01%), 이오테크닉스(-0.75%)는 하락 중이다.

그 외 이화전기(+24.94%), 키이스트(+23.93%), 디엠티(+20.60%) 등의 종목의 상승이 두드러진 가운데, KJ프리텍(-11.53%), 동양시멘트(-11.21%), 태양씨앤엘(-9.63%) 등은 하락 중이다.

현재 685개 종목이 상승 중인 가운데 하락 종목은 406개다. 81개 종목은 보합세를 보이고 있다.

외환시장에선 원달러 환율이 1157원(-0.49%)으로 하락세를 보이고 있으며, 일본 엔화는 1020원(-0.06%), 중국 위안화는 168원(-0.36%)을 기록 중이다.

[이 기사는 이투데이에서 개발한 알고리즘 기반 로봇 기자인 e2BOT이 실시간으로 작성했습니다. 기사관련 문의 - e2bot@etoday.co.kr]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코스피 11% 올랐는데…개미는 ‘하락 베팅’ 삼매경
  • [트럼프 2기 한 달] 글로벌 경제, 무역전쟁 재점화에 ‘불확실성 늪’으로
  • 집안 싸움 정리한 한미약품, ‘R&D 명가’ 명성 되찾을까
  • 활기 살아나는 국내 증시…동학개미 '빚투'도 늘었다
  • [날씨] 전국 맑고 '건조 특보'…시속 55km 강풍으로 체감온도 '뚝↓'
  • 트럼프發 반도체 패권 전쟁 심화…살얼음판 걷는 韓 [반도체 ‘린치핀’ 韓의 위기]
  • MRO부터 신조까지…K조선, ‘108조’ 美함정 시장 출격 대기
  • ‘나는 솔로’ 24기 광수, 女 출연자들에 “스킨쉽 어떠냐”…순자 “사기당한 것 같아”
  • 오늘의 상승종목

  • 02.20 12:30 실시간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44,030,000
    • +0.38%
    • 이더리움
    • 4,067,000
    • +0.99%
    • 비트코인 캐시
    • 482,700
    • +2.53%
    • 리플
    • 4,004
    • +4.35%
    • 솔라나
    • 253,900
    • +0.87%
    • 에이다
    • 1,157
    • +2.75%
    • 이오스
    • 966
    • +4.89%
    • 트론
    • 359
    • -1.64%
    • 스텔라루멘
    • 503
    • +2.65%
    • 비트코인에스브이
    • 57,150
    • +2.14%
    • 체인링크
    • 27,030
    • +1.24%
    • 샌드박스
    • 547
    • +1.67%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