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황_개장] 코스피 2044.5p, 개인 순매수에 상승세 (▲6.11p, +0.30%)

입력 2016-12-20 09:04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전 거래일에 하락세를 보였던 코스피시장이 개인과 기관의 ‘쌍끌이’ 매수세에 하루 만에 상승 반전했다.

20일 오전 9시 3분 현재 코스피지수는 6.11포인트(+0.30%) 상승한 2044.5포인트를 나타내며, 2040선을 두고 등락을 거듭하고 있다.

이 시간 현재 투자자 별 동향을 살펴보면 개인과 기관은 ‘사자’ 기조를 보인 반면에 외국인은 ‘팔자’에 힘을 실었다.

개인은 22억 원을, 기관은 20억 원을 각각 매수 중이며 외국인은 39억 원을 매도하고 있다.

업종별 현황을 살펴보면 통신업(+0.60%) 업종의 상승 출발이 눈에 띄는 가운데, 건설업(+0.49%) 종이·목재(+0.47%) 등의 업종이 상승세를 보이고 있다. 반면에 섬유·의복(-0.40%) 등의 업종은 상대적으로 하락세다.

이외에도 유통업(+0.45%) 의약품(+0.37%) 화학(+0.31%) 등의 업종이 동반 상승 중이며, 전기가스업(-0.03%) 등의 업종은 하락 중이다.

삼성전자가 0.22% 오른 179만9000원에 거래 중이며, 시가총액 상위 20개 종목 중 15개 종목이 오름세로 출발했다.

LG화학이 0.96% 오른 26만2000원을 기록 중이고, KT&G(+0.96%), SK하이닉스(+0.89%)가 상승 중인 반면 NAVER(-0.50%), KB금융(-0.45%), 삼성생명(-0.43%)은 하락 출발했다.

그밖에 케이탑리츠(+9.32%), 세우글로벌(+6.28%), 성창기업지주(+4.13%) 등의 종목이 상승했으며, 아비스타(-17.38%), 중국원양자원(-4.98%), 넥솔론(-3.55%) 등은 하락세를 보이고 있다.

현재 상승 종목은 444개, 하락 종목은 195개이며 나머지 145개 종목은 보합세다.

한편 외환시장에서 원달러 환율은 1188원(-0.07%)으로 하락 출발했으며, 일본 엔화는 1015원(+0.09%), 중국 위안화는 171원(+0.10%)을 기록 중이다.

[이 기사는 이투데이에서 개발한 알고리즘 기반 로봇 기자인 e2BOT이 실시간으로 작성했습니다. 기사관련 문의 - e2bot@etoday.co.kr]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코스피 11% 올랐는데…개미는 ‘하락 베팅’ 삼매경
  • [트럼프 2기 한 달] 글로벌 경제, 무역전쟁 재점화에 ‘불확실성 늪’으로
  • 집안 싸움 정리한 한미약품, ‘R&D 명가’ 명성 되찾을까
  • 활기 살아나는 국내 증시…동학개미 '빚투'도 늘었다
  • [날씨] 전국 맑고 '건조 특보'…시속 55km 강풍으로 체감온도 '뚝↓'
  • 트럼프發 반도체 패권 전쟁 심화…살얼음판 걷는 韓 [반도체 ‘린치핀’ 韓의 위기]
  • MRO부터 신조까지…K조선, ‘108조’ 美함정 시장 출격 대기
  • ‘나는 솔로’ 24기 광수, 女 출연자들에 “스킨쉽 어떠냐”…순자 “사기당한 것 같아”
  • 오늘의 상승종목

  • 02.20 13:12 실시간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44,258,000
    • +0.71%
    • 이더리움
    • 4,076,000
    • +1.37%
    • 비트코인 캐시
    • 483,700
    • +2.83%
    • 리플
    • 4,021
    • +5.51%
    • 솔라나
    • 256,700
    • +2.8%
    • 에이다
    • 1,161
    • +3.66%
    • 이오스
    • 971
    • +6.47%
    • 트론
    • 357
    • -2.19%
    • 스텔라루멘
    • 507
    • +3.68%
    • 비트코인에스브이
    • 57,450
    • +2.96%
    • 체인링크
    • 27,310
    • +2.63%
    • 샌드박스
    • 552
    • +3.18%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