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의 재닛 옐런 의장이 지난달 14일(현지시간)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회의를 마치고 나서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워싱턴/AP뉴시스](https://img.etoday.co.kr/pto_db/2017/01/20170105082523_999866_400_601.jpg)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가 도널드 트럼프의 대통령 당선에 따른 불확실성을 감수하고 기준금리를 올린 것으로 나타났다.
연준은 지난달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에서 금리 인상과 함께 트럼프 차기 정권이 경제에 미칠 영향을 집중적으로 논의한 사실이 4일(현지시간) 공개된 지난달 FOMC 의사록에서 확인됐다.
연준은 지난해 12월 FOMC에서 기준금리를 0.5∼0.75%로 0.25%포인트 상향 조정했다. 이는 2015년 12월에 이어 금융위기 후 이뤄진 두 번째 기준금리 인상이었다.
회의록에 따르면 연준 위원들은 1년 만에 기준금리를 인상한 이유에 대해 고용과 물가가 목표를 향해 나아가고 있다는 충분한 증거를 얻었다는 점에 동의했다. 또 연준 위원 대부분은 여전히 점진적인 금리인상 필요성을 강조했다.
트럼프나 차기 정권에 대해 직접 언급하진 않았으나 연준 위원들은 “향후 재정정책과 기타 경제정책의 시기와 규모, 내용, 그리고 이런 정책들이 경제에 미치는 영향에 큰 불확실성이 있다”고 우려했다. 그러면서 인프라 지출과 감세 등 향후 예상되는 재정적 부양책이 경제성장을 촉진할 수 있다는 인식을 나타냈다. 또 실업률이 상당히 빠른 속도로 하락할 수 있어 금리인상 속도가 예상보다 빨라질 가능성도 지적했다. 즉, 트럼프 정부가 펼칠 재정적 부양책으로 경제 성장이 가속화하고 인플레이션 압력이 커지면 금리인상이 예상보다 더 많이 이뤄질 수 있음을 시사한 것이다. 연준은 지난달 FOMC에서 공개된 금리인상 전망을 담은 점도표에서 올해 금리를 세 차례 올릴 것임을 암시했다.
연준이 물가 판단의 중요 기초자료로 활용하는 개인소비지출(PCE) 물가지수는 지난해 11월에 전년 동월 대비 1.4% 올라 2년 만에 가장 높은 수준을 유지했다. 같은 기간 실업률은 4.6%로, 2007년 8월 이후 9년 만에 최저치를 찍었다.
또 연준 위원들은 조세와 지출, 규제정책의 변화에 따라 경제성장이 더 빨라질 수도 또는 느려질 수도 있다고 지적했다. 많은 연준 위원이 경제전망과 관련해 달러화 추가 강세, 해외 금융 안정성 등 리스크를 면밀히 주시할 필요가 있다는 점도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