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전없는 사회’ 시범사업이 20일부터 본격 추진될 예정인 가운데 일각에서 개인정보노출 등 우려를 제기하고 있는 중이다. 이에 대해 한국은행 차현진 금융결제국장과 이종렬 전자금융부장은 19일 큰 문제가 없다고 답했다.
다음은 일문일답 내용.
![▲20일부터 동전없는 사회 시범사업이 본격 실시되면서 동전을 받는 대신 기존 교통카드 등 선불카드에 적립해 사용할 수 있게 됐다. 사진은 CU가 시범사업을 기념해 비매품으로 출시한 동전적립 교통카드.](https://img.etoday.co.kr/pto_db/2017/04/20170419114634_1051706_600_381.jpg)
▲20일부터 동전없는 사회 시범사업이 본격 실시되면서 동전을 받는 대신 기존 교통카드 등 선불카드에 적립해 사용할 수 있게 됐다. 사진은 CU가 시범사업을 기념해 비매품으로 출시한 동전적립 교통카드.
◇보안문제는요? = 선불카드 사업자가 참여하고 있다. 기존에 지켜야할 보안수칙 등이 마련돼 있어 별도의 보안조치는 필요치 않다.
◇동전이 없어지면 1000원 단위 거래로 물가가 오르지 않을까요? = 이번에 시행하는 제도는 잔돈 적립 서비스로 물가 상승 걱정은 없다. 오히려 판매자 입장에서는 잔돈을 준비할 필요가 없고 10원 단위로 가격 책정이 가능할 것으로 본다.
◇동전을 이용하는 노래방이나 자판기 사업자들과 재래시장 노점상들이 타격을 받지 않을까요? = 동전을 없애는 것이 아니라 사업에 타격은 없을 것이다. 다만 이들 사업자들도 향후 전자적 결제가 가능하도록 하겠다. 또 지금으로서는 정확한 답이 없지만 재래시장과 골목상권에도 무리없이 적용하는 방안을 고민 중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