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지속되는 수출 호조가 소비까지 녹이는 분위기다. 건설투자와 설비투자도 양호한 수준을 이어갔다. 경기개선세가 수도권과 강원권에 이어 충청권과 동남권으로 확산했다. 지역경기는 앞으로도 수도권과 충청권, 동남권 등에서 수출과 소비를 중심으로 개선흐름이 이어질 것으로 봤다.

제조업 생산의 경우 동남권은 기계장비와 자동차를 중심으로, 제주권은 레미콘과 음료제품을 중심으로 각각 증가했다. 반면 여타 권역에서는 주력 산업의 업황이 엇갈렸다. 수도권과 충청권, 동남권에서는 앞으로도 반도체와 디스플레이 및 석유화학·정제를 중심으로 증가할 것이란 관측이다.
서비스업 생산은 수도권에서는 도소매업과 운수업 등이 증가했고, 충청권과 강원권은 도소매업과 관광·숙박업이 늘었다. 앞으로도 관광객 및 수출입 화물 증가 등에 힘입어 도소매업, 운수업 등을 중심으로 늘어날 것으로 봤다.
소비는 수도권과 충청권의 경우 냉방기기, 공기청정기 등 가전제품 판매가 늘었고, 강원권에서는 특산물 및 의류 판매가 증가했다. 호남권과 대경권에서는 일부 가전제품 판매가 증가한 반면, 자동차 판매는 감소했다.
설비투자는 대체로 전분기의 양호한 흐름을 이어갔다. 수도권과 충청권은 반도체 및 디스플레이 업체의 생산라인 증설로, 동남권과 호남권은 석유화학·정제 업체의 생산능력 확충 투자 등에 견조한 흐름을 유지했다.
건설투자는 동남권 및 충청권, 강원권에서 주거용 건물을 중심으로 증가했다. 수출은 강원권을 제외한 전 권역에서 반도체, 디스플레이 및 석유화학 제품을 중심으로 늘었다.
향후에도 건설투자와 설비투자가 양호한 수준을 유지하는 가운데 수출과 소비 개선세가 이어질 것으로 전망했다.
김현정 한은 지역협력실장은 “경기동향이 전분기에 비해 대체로 좋은 흐름을 유지했다. 지난 분기에는 설비투자가 좋았는데 이번 분기에는 소비가 개선된게 눈에 띤다”며 “수출도 여전히 좋아 전반적으로 호조세가 유지될 것으로 판단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