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령화사회에 진입하더라도 경상수지 적자 가능성은 낮다는 분석결과가 나왔다. 노인 인구 급증에 따라 노인부양률은 높아지겠지만 저출산에 따라 유년부양률은 제자리걸음일 가능성이 높고, 노인들도 적극적으로 노동에 참여할 확률이 크기 때문이다.
![(한국은행)](https://img.etoday.co.kr/pto_db/2017/07/20170720115633_1099213_433_358.jpg)
유년과 노년부양률이란 15세에서 65세까지 생산가능인구 1인당 부양해야하는 15세 이하 인구와 65세 이상 인구 비율을 의미한다. 우리나라의 유년부양률은 1975년 65.4%에서 2015년 19.2%로 3분의 1수준으로 떨어진 반면, 노년부양률은 같은 기간 6%에서 18%로 급증했다.
보고서는 유년부양률이 2010년 후반 20.3%에서 2030년 후반 22.1%를 기록할 것으로 추산했다. 노년부양률은 같은 기간 16.8%에서 54.4%로 예측했다. 이를 감안해 25년 뒤 GDP대비 경상수지 비중을 추산한 결과 각각 0.16%포인트와 0.53%포인트 감소효과가 있는 것으로 추정했다.
이를 합산하면 고령화사회 진입에 따라 GDP대비 경상수지를 0.69%포인트 낮추는 셈이다. 2016년 현재 GDP대비 경상수지 비율이 6.99%인 점, 2000년 이후 2016년까지 평균치가 2.98%인 점을 감안해 단순대입해도 고령화가 경상수지를 적자로 전환시킬 가능성은 낮은 셈이다.
관련 뉴스
보고서는 또 은퇴연령이 변화하고 고령인구 노동시장 확장, 연금구조 변화, 저축 및 투자행태 변화 등이 경상수지에 긍정적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봤다.
실제 노년층이 경제활동에 참가해 노년부양률을 1%포인트 줄인다면 GDP대비 경상수지 비율을 1.42%포인트 높이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분석됐다. 결국 노년부양률을 줄일 경우 그렇지 않은 경우와 비교했을 때 GDP대비 경상수지를 1.62%포인트 높일 수 있는 셈이다.
김경근 부연구위원은 “고령화가 진전되더라도 경제주체들의 행동이 변화할 수 있다”며 “이 경우 고령화가 경상수지에 미치는 영향은 기존과 달라질 수 있다”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