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단녀 72.9%, “최근 1년 동안 구직활동 경험 있다”

입력 2019-06-18 09:37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사진제공=벼룩시장구인구직)
(사진제공=벼룩시장구인구직)

경력단절여성의 10명 중 7명은 최근 1년 사이 구직 활동의 경험이 있다고 답해 구직활동에 나서는 경력단절여성이 상당한 것으로 나타났다.

생활밀착 일자리를 제공하는 벼룩시장구인구직은 경력단절여성 824명을 대상으로 진행한 설문조사 결과 응답자의 72.9%가 최근 1년 사이 실제 '구직활동을 한 경험이 있다'고 답했다고 18일 밝혔다

재취업 시 희망 연봉으로는 ‘2000만 원~3000만 원’(65%)로 가장 많았으며 ‘3000만 원~4000만 원’(18.5%), ‘2000만 원 미만’(12.1%), ‘4000만 원~5000만 원 미만’(2.6%), ‘5000만 원 이상’(1.9%) 순이었다.

재취업을 하려는 가장 큰 이유는 ‘생활비 마련 등 경제적 사정’(65.4%) 때문이었다. 다음으로 ‘커리어를 지속적으로 유지하고 싶어서’(11.7%), ‘자녀의 교육비 마련을 위해’(11.3%), ‘시간적인 여유가 생겨서’(6.5%). ‘자아성취를 느끼고 싶어서’(5.2%)를 꼽았다.

그렇다면 이들이 재취업을 준비하면서 가장 힘들었던 것은 무엇일까. 응답자 33.5%가 ‘예전보다 낮은 임금수준과 근무조건 등 질 낮은 일자리만 남아있는 현실’이라고 답했다.

이 밖에 ‘이전 경력을 살릴 수 있는 일을 계속 하지 못하는 점’(20.8%), ‘경력단절여성에 대한 인식 등 나를 원하는 회사가 없다는 생각’(16.4%), ‘경력단절여성을 위한 채용공고 부족’(14.5%), ‘아이를 맡길 수 있는 시설과 육아도우미의 부재’(13.4%), ‘가족들의 반대’(1.4%)가 있었다.

한편 경력단절여성 중 1년 새 구직활동을 하지 않고 있는 구직단념자들은 그 이유로 ‘오래 쉬어 일하기가 겁이 나서’(25.2%)를 가장 많이 선택했다. 이어 ‘육아에 더 전념해야 할 것 같아서’(24.1%), ‘어떤 일을 해야 할 지 몰라서’(23%), ‘구직활동을 해도 어차피 일자리 구하기 힘들 것 같아서’(20.1%), ‘구직활동 자체를 할 시간적 여유가 없어서’(6.2%), ‘구직이 아닌 창업 등 나만의 사업을 계획하고 있어서’(1.5%)가 뒤를 이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단독 삼성전자, 차세대 RGB 마이크로 LED TV 연내 출시한다
  • 단독 금융당국 ‘스왑뱅크’ 논의 본격화…주금공 유력 검토
  • [날씨] 입춘 지나도 이어지는 살얼음 추위…전북ㆍ제주선 폭설
  • 이재용·올트먼·손정의 회동 마쳤다…스타게이트 참여에 ‘촉각’
  • 오늘(5일) 롤 패치 업데이트 서버 점검 실시…언제까지?
  • "예상보다 빠르고 깊은 캐즘" 공급과잉 시달리는 배터리 핵심광물
  • "투자도 잘하네"…'피겨 퀸' 김연아가 사는 마크힐스는 [왁자집껄]
  • '세기의 사랑' 앗아간 사망까지…독감만큼 무서운 '이것' [이슈크래커]
  • 오늘의 상승종목

  • 02.04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54,439,000
    • -2.98%
    • 이더리움
    • 4,258,000
    • -5.55%
    • 비트코인 캐시
    • 519,500
    • -6.31%
    • 리플
    • 3,983
    • -6.08%
    • 솔라나
    • 325,800
    • -3.95%
    • 에이다
    • 1,171
    • -8.3%
    • 이오스
    • 979
    • -3.26%
    • 트론
    • 353
    • -2.22%
    • 스텔라루멘
    • 539
    • -6.59%
    • 비트코인에스브이
    • 64,900
    • -4.14%
    • 체인링크
    • 31,310
    • -8.05%
    • 샌드박스
    • 637
    • -6.05%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