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제공=한국은행)](https://img.etoday.co.kr/pto_db/2019/11/20191129143841_1395593_1199_730.jpg)
다음 주 3분기 경제성장률이 조정될지 관심이 쏠릴 전망이다. 두 달 연속 마이너스 이후 보합을 기록한 소비자물가의 플러스 전환 여부도 주목된다.
한국은행은 3일 3분기 국민소득 잠정치를 발표한다. 지난달 24일 발표된 3분기 실질 국내총생산(GDP) 증가율 속보치는 전기 대비 0.4%로 집계됐다.
3분기 성장률은 시장의 예상을 밑돌면서 올해 연간 성장률이 2%에 미치지 못할 가능성이 커졌다는 전망이 나왔다.
잠정치 통계에는 GDP 디플레이터도 함께 발표된다. GDP 디플레이터는 명목 GDP를 실질 GDP로 나눈 것으로, 경제 전반의 종합적인 물가 수준을 보여준다.
관련 뉴스
GDP 디플레이터는 지난해 4분기(-0.1%)부터 올해 1분기(-0.5%), 2분기(-0.7%)까지 3개 분기 연속 마이너스를 기록했다. 저물가 기조가 이어지면서 4개 분기 마이너스를 나타낼 가능성이 크다.
이에 앞서 2일엔 통계청이 11월 소비자물가동향을 발표한다.
8~9월 1965년 통계 집계 후 사상 첫 마이너스를 기록했던 소비자물가는 10월 보합을 기록했다. 11월 플러스로 전환했을 지 주목된다.
4일엔 한은이 11월 말 기준 외환보유액을 공표한다.
10월 말 우리나라 외환보유액은 전월 대비 30억 달러 늘어난 4063억2000만 달러로, 9개월 만에 사상 최고치를 경신했다.
5일엔 10월 국제수지 통계를 발표한다.
9월 경상수지가 11개월 만에 최대 흑자를 나타낸 데 이어 10월에도 흑자 기조가 이어갈 전망이다. 통관기준 무역수지는 10월 53억9000만 달러 흑자를 기록했다.
같은 날 원금손실로 물의를 빚은 해외금리 연계 파생결합펀드(DLF) 관련 분쟁조정위원회도 열린다.
이 회의에선 불완전판매에 대한 금융사의 손해배상 비율이 결정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