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토교통부가 오는 2025년까지 건설현장에 보급 가능한 스마트 건설기술 연구개발에 2000억 원을 투자한다.
국토부는 19일 '스마트 건설기술 개발사업'을 오는 4월부터 착수하기 위한 연구기관 공모를 20~25일 6일간 진행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이번 공모를 통해 12개 세부과제별 연구기관과 사업단 전체 업무를 총괄하는 사업단장도 선발하게 된다.
개발 중점 4대 분야는 △건설장비 자동화 및 관제기술 △도로구조물 스마트 건설기술 △스마트 안전 통합 관제기술 △디지털 플랫폼 및 테스트베드 등이다. 세부적으로 살펴보면 토공 장비 자동화·다수 장비 간 협업 시공을 위한 실시간 통합관제, BIM(3D-디지털 모델링) 기반 모듈러 시공, 로봇을 활용한 무인 원격 시공 등 주요 핵심기술들이 포함돼 있다.
이 사업은 핵심기술 개발부터 종합적 시험적용(테스트베드)을 통한 개발기술 검증까지 총 3단계로 구분돼 추진된다.
특히, 건설 분야 최초로 실제 발주되는 건설공사 사업과 연구개발(R&D)사업을 연구 착수 시점부터 연계해 스마트 건설기술에 대한 실검증 사례를 확보하는 '건설발주 연계 연구개발(R&D) 사업'으로 추진해 실용화 가능성을 제고할 계획이다.
이성해 국토부 건설정책국장은 “연구과제 상당수가 현재 미국‧영국 등 기술 선두국에서도 아직 초기 연구단계이거나 제한적‧시범적 수준"이라며 "2025년까지 이 기술들이 완성돼 건설 현장에 보급‧적용되면 기술 선두국 진입이 가능하다”고 말했다.
이어 “건설사업 전 공정의 스마트화를 위해 도로시설물 및 지하시설물에 대한 스마트 유지관리 기술 개발사업도 각각 2000억 원 규모로 후속 추진하겠다"며 "올해 예비타당성조사도 신청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국토교통부 )](https://img.etoday.co.kr/pto_db/2020/01/20200119154950_1414754_654_465.jp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