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금융위원회와 금융감독원은 13일 이러한 내용을 담은 ‘금융기관 검사 및 제재에 관한 규정’ 개정안을 의결했다고 밝혔다. 이번 개정은 지난해 8월 발표한 ‘금융감독 혁신방안’ 등을 반영한 것이다.
우선 금융당국은 검사 종류별로 검사종료부터 결과통보까지의 ‘표준검사처리기간’을 설정했다. 그간 금융사의 검사종료 후 검사결과가 통보되기까지 장기간이 소요돼 금융사의 법적·심리적 불확실성이 지속한 데 따른 것이다.
앞으로 종합검사는 180일, 준법성검사는 152일, 평가성검사는 90일로 규정된다. 제재사항이 없는 표준검사 시에는 종합검사와 준법성검사 기간은 각각 160일, 132일로 줄어든다. 만약 이 기간을 초과할 경우 금융위에 반기별로 보고토록 했다. 다만 △제재대상자 의견청취 △관련 소송 및 수사·조사 등 불가피한 사유로 인해 생기는 기간은 포함하지 않는다.
‘교육조건부 제재면제’ 제도도 도입된다. 법규 미숙지와 단순과실 등 경미한 위반행위를 한 금융사에 대해 획일적으로 제재하는 대신 준법교육 이수를 조건으로 제재를 면제한다.
관련 뉴스
금융당국은 “유사 위규행위의 재발방지와 금융의 경쟁·혁신 유도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기대한다”며 “‘교육조건부 제재면제’ 제도는 교육기관 섭외 등 준비 기간을 고려해 규정시행 후 6개월 뒤 시행할 예정”이라고 설명했다.
안건에 대한 열람 기간도 늘어난다. 금융사와 임직원은 제재심의위원회 개최 ‘3일 전’에 볼 수 있던 제재안건을 ‘5영업일 전’부터 확인할 수 있다.
제재심에서 제재대상자에게 참고인 진술신청권도 부여된다. 제재과정에서 금융당국과 독립적으로 금융사의 의견을 청취하고 적극 대변하는 권익보호관제도 명문화된다.
금융당국은 내부통제 강화 노력에 대한 인센티브를 강화하는 차원에서 위반행위 자진신고, 자체시정, 임직원 자체징계 등 노력을 기울인 금융회사는 과태료·과징금을 보다 감면받을 수 있도록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