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이잉원 대만 총통이 20일 타이베이빈관 야외무대에서 취임 연설을 하고 있다. 타이베이/AP연합뉴스](https://img.etoday.co.kr/pto_db/2020/05/20200528101743_1465461_1200_800.jpg)
28일 니혼게이자이신문(닛케이)에 따르면 차이 총통은 이날 오후 타이베이 시내에서 기자들의 질문에 “자유와 민주를 추구하는 홍콩인의 결의를 지지한다”며 “대만에서의 거주나 노동 등에 필요한 지원을 시행하겠다”고 밝혔다. 이어 그는 행정원(내각)에 구체적인 시책을 수립할 것을 지시했다고도 했다.
홍콩인이 대만에서의 일반 체류 허가를 받기 위해서는 ‘대만에서 600만 대만달러 이상의 투자를 한다’ 등의 조건을 충족해야 한다. 대만은 이러한 조건들을 재검토해 홍콩인의 대만 이주를 보다 수월하게 할 가능성이 있다고 닛케이는 설명했다.
홍콩인의 대만 이민은 ‘범죄인 인도 법안(송환법)’ 반대 시위가 시작된 지난해 6월 이후 급증했다. 지난해 대만에서는 홍콩인의 체류 허가 건수가 전년 대비 41% 증가한 5858건을 기록했다. 시위가 격화한 작년 9월 이후에는 매월 600명 이상이 대만으로 이주했다. 특히 지난해 10월에는 대만으로 이주한 홍콩인의 숫자가 1243명에 달했다. 올해 1~4월까지는 2383건으로 전년 동기의 2.5배가 됐다.
중국이 홍콩보안법을 추진하면서 최근 홍콩인의 대만 이민 문의는 한층 더 늘고 있다. 앞서 홍콩경제일보는 지난 25일 홍콩 내 이민 서비스 전문업체 관계자를 인용, 홍콩보안법 제정 소식에 하루 만에 대만 이민 문의가 평상시의 10배 수준으로 늘어났다고 전했다. 홍콩보안법 제정 소식에 인터넷 포털 등에서는 ‘이민’, ‘대만’ 등의 검색 건수 또한 급증한 것으로 전해졌다.
지난 22일 중국의 전국인민대표대회(전인대) 개막식에서는 외국 세력의 홍콩 내정 개입과 국가 분열, 국가 정권 전복, 테러리즘 활동 등을 처벌하고 홍콩 시민에 대한 국가안보 교육을 강화하는 내용을 담은 홍콩보안법 초안이 공개됐다. 여기에는 홍콩의 시위 활동 및 시민사회를 심각하게 파괴할 수 있는 강력한 내용이 담겼다. 만약 실제로 이 법이 제정·시행될 때는 대규모 시위가 사실상 불가능해지며, 민주 인사의 홍콩 선거 참여마저 막힐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