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가 약세로 대체에너지사업 '주춤'

입력 2009-01-03 14:39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배럴당 50달러 이하 땐 채산성 없어 문닫을 판

SK에너지 등 정유사에 바이오디젤을 납품하는 A사는 최근 공장가동률을 30%로 낮췄다. 정유사에 납품하는 것으로는 생산되는 바이오디젤을 모두 소화할 수 없기 때문이다. 결국 판로가 막힌 A사는 공장가동률을 낮추고 시황을 좀 더 지켜보기로 했다.

그나마 A사는 정유사 납품으로 타 업체에 비해 여유가 있는 상황이다. 4개 정유사와 공급계약을 체결하지 못한 업체들은 아예 공장 가동을 멈췄다.

A사 관계자는 "물량을 생산하고도 판매처가 없는 업체들은 조업을 아예 중단하고 있다"며 "정확하게 집계하지 못했지만 회사 간판만 걸어둔채 사실상 폐업한 곳도 있다"고 말했다.

두바이유가 배럴당 30달러대까지 곤두박질치자 신재생에너지 등 대체에너지 시장이 찬바람을 맞고 있다. 특히 최근 유가 급락으로 채산성에 비상이 걸리는 한편 세계 금융위기가 실물경기 침체로 이어지면서 대체에너지 시장을 더욱 악화시키고 있기 때문이다.

2일 업계에 따르면 고전을 겪고 있는 대표적인 대체에너지 부문은 캐나다 오일샌드, 바이오디젤·바이오에탄올, 풍력발전 등이다.

모래에서 기름덩어리를 추출해내는 오일샌드 업계는 유가 급락으로 개발 속도를 조절할 수 밖에 없는 상황이다.

석유공사 관계자는 “고유가로 오일샌드 경제성이 덩달아 상승했지만 유가가 배럴당 40달러 밑으로 떨어지면 사업 진행속도를 조절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해외에서 오일샌드 사업을 하고 있는 국내 기업들도 어렵기는 마찬가지다.

미국 유타주 버널시에서 오일샌드 유전을 매입해 생산 중인 한국기술산업은 “서부텍사스중질유(WTI) 가격 기준으로 배럴당 55달러가 한계점이고, 50달러가 되면 사업을 접어야 한다”고 밝혔다.

다른 오일샌드 업체인 B사는 “2008년 초 유가 수준인 90달러 수준만 되어도 어느 정도 높은 수익이 기대됐지만 지금은 사업 중단을 고민하고 있다”며 “유가가 현 수준을 지속적으로 유지한다면 결국 사업을 접어야 한다”고 말했다.

아울러 고유가에 따른 친환경연료로 각광받아온 바이오디젤사업도 고사 위기에 처했다. 비싼 생산원가에 비해 수요처가 극히 제한돼 있기 때문이다. 바이오디젤은 경유제품에 소량을 섞는데 용도가 거의 제한돼 있어 판매량이 크게 늘어날 수 없는 구조다.

실제로 바이오디젤 생산업체로 등록돼 있는 21개사 중 정유사와 공급계약을 체결한 업체들은 최소한으로 공장을 가동하면서 현 위기를 넘기고 있지만 그 외의 업체들은 공장 가동을 멈추는 등 극단적 조치를 취하고 있는 것이다.

바이오디젤업체 한 관계자는 “유가가 떨어지면서 사업 채산성이 급감하고 있다”며 “2009년 경기불황으로 판로조차 막혀 몇몇 회사를 제외하고는 생존조차 불투명한 상황”이라고 지적했다.

바이오디젤업체 다른 한 관계자는 “국내 생산공장을 풀가동하면 90만㎘를 생산할 수 있지만 지난해 정부가 정한 정유사에 납품하는 물량은 4분의 1 수준인 21만㎘에 불과하다”며 “정유사에 한번이라도 납품한 적이 있는 업체는 21곳 중 11곳에 불과하다”고 말했다.

태양광 시장도 주춤하고 있다. 태양광발전 시설을 짓는 데 비용이 많이 드는데다 최근 발전차액금이 줄어들어 경제성이 더욱 악화됐기 때문이다.

그동안 수급난으로 고공비행을 했던 태양광 모듈가격이 추락하고 있지만 아직도 2~3년 전에 비해 높은 가격대를 유지하고 있다.

주요 모듈의 가격동향 살펴보면 지난해 11월 와트(W)당 4.8달러를 유지하던 일본 K사의 14%대 모듈은 3.9달러, 미국 S사의 18%대 단결정 모듈은 5.1달러에서 4.8달러로 각각 가격이 하락했다. 이밖에 일본 S사, 독일 E사, 스페인 I사의 제품도 4.3~4.8달러선을 유지하며 상반기 대비 10%가량 판매가를 내렸다

그러나 3년전 와트당 3달러 수준이었던 점에 비춰보면 여전히 높은 수준이다.

최근 태양광발전소를 준공한 동양건설산업 관계자는 “여전이 모듈 가격 등 원재료 가격이 높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며 “유가는 떨어지고 있어 조금이라도 계산기를 두드려본 기업이라면 태양광에 뛰어들기는 힘들 것”이라고 말했다.

또 다른 업계 관계자는 인사는 “유가 급락과 높은 원자재값 뿐만 아니라 지난해 10월부터 정부가 발전차액지원제도를 축소한 것도 태양광 사업이 주춤할 수 밖에 없는 원인”이라고 지적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국내보다 낫다"…해외주식에 눈 돌리는 대학생 개미들 [데이터클립]
  • "웃기려다가 나락"…'피식대학'→'노빠꾸 탁재훈'이 보여준 웹예능의 퇴보 [이슈크래커]
  • K-푸드, 수출 주역으로 '우뚝'…10대 전략산업 넘본다 [K-푸드+ 10대 수출 전략산업②]
  • "서울 집값·전세 계속 오른다"…지방은 기대 난망 [하반기 부동산시장 전망①]
  • 줄줄 새는 보험료…결국 가입자 '쥐어짜기' [멍든 실손개혁下]
  • 피겨 이해인 "미성년 성추행 사실 아냐…부모님 반대로 헤어진 후 다시 만나"
  • 단독 “1나노 공정 준비 착착”…삼성전자, ‘시놉시스’와 1나노 IP 협업 진행 중
  • 셔틀버스 ‘만원’, 접수창구 순조로워…‘무기한 휴진’ 세브란스병원 [가보니]
  • 오늘의 상승종목

  • 06.27 15:04 실시간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85,605,000
    • -1.27%
    • 이더리움
    • 4,748,000
    • -0.5%
    • 비트코인 캐시
    • 524,000
    • -1.32%
    • 리플
    • 658
    • -1.35%
    • 솔라나
    • 191,900
    • -0.62%
    • 에이다
    • 534
    • -2.55%
    • 이오스
    • 799
    • -1.36%
    • 트론
    • 173
    • +0%
    • 스텔라루멘
    • 126
    • -2.33%
    • 비트코인에스브이
    • 61,850
    • -2.37%
    • 체인링크
    • 19,320
    • -3.16%
    • 샌드박스
    • 464
    • -1.9%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