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ioS]에이비엘, 'PD-L1xLAG-3' 이중항체 "국내 1상 IND"

입력 2021-05-21 09:05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국소 진행성 또는 전이성 고형암 환자 36명 대상 ABL501 단독투여 평가

에이비엘바이오(ABL Bio)가 식품의약품안전처에 PD-L1xLAG-3 이중항체 'ABL501'의 국내 임상1상 시험계획서(IND)를 신청했다고 21일 밝혔다.

이번 임상은 국소 진행성 또는 전이성 고형암 환자 36명을 대상으로 ABL501의 단독요법에 따른 내약성, 안전성 등을 평가한다. 삼성서울병원, 서울대병원, 서울아산병원과 신촌세브란스병원을 포함해 최대 6개 기관에서 진행할 예정이다.

ABL501은 이중항체 플랫폼 ‘Grabody-I’를 적용한 것으로 억제성 면역관문분자 PD-L1과 LAG-3를 억제하는 약물이다. LAG-3는 종양내 종양침투림프구(TIL)에 PD-1과 함께 발현하고 있으며, LAG-3를 억제할 경우 고갈(exhaustion) T세포를 활성화해 PD-(L)1 불응성을 극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LAG-3 면역관문억제제 개발로 가장 앞서가는 BMS는 전이성 흑색종 대상 1차 치료제로 LAG-3 항체 '렐라틀리맙(relatlimab)'과 옵디보 병용투여가 옵디보 단독 대비 무진행생존기간(PFS)를 개선시킨 임상2/3상 결과를 발표했다. 이에 따라 LAG-3가 차세대 면역관문분자로 주목받고 있다.

앞서 지난 4월 에이비엘바이오는 미국암학회(American Association for Research, AACR)에서 ABL501의 전임상 연구결과를 발표한 바 있다. ABL501은 인비트로(in vitro)와 인비보(in vivo) 모델에서 LAG-3 또는 PD-L1 단독요법, 두 약물의 병용투여보다 높은 항암 효과를 나타냈다. 또한 영장류를 대상으로 한 독성실험에서 200mg/kg의 고용량 투여에도 심각한 부작용이 관찰되지 않았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삐이~" 새벽잠 깨운 긴급재난문자, 데시벨도 달라진다고? [해시태그]
  • 칸예, '아내 누드쇼'→'디디 게이트' 샤라웃?…'칸쪽이'는 왜 그럴까 [솔드아웃]
  • 경쟁국은 자국산업 보호로 바쁜데…기업 옥죌 궁리만 하는 韓 [反기업법, 벼랑끝 제조업]
  • 금 사상 최고가 행진에 은행 골드뱅킹 ‘화색’
  • '완전체 컴백' 앞두고 날갯짓 편 블랙핑크…4인 4색 차량 열전 [셀럽의카]
  • 비트코인, 숨고르기 들어가나…연준 모호한 발언 속 내림세 [Bit코인]
  • 제주공항 오늘 윈드시어 특보…지연·결항 속출
  • ‘이 정도면 짜고 친듯’…식품업계 이번주 잇단 가격 인상 발표, 왜?
  • 오늘의 상승종목

  • 02.07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48,720,000
    • -2.38%
    • 이더리움
    • 4,170,000
    • -5.1%
    • 비트코인 캐시
    • 493,000
    • -4.55%
    • 리플
    • 3,524
    • -6.92%
    • 솔라나
    • 295,900
    • -5.67%
    • 에이다
    • 1,098
    • -6.79%
    • 이오스
    • 893
    • -5.9%
    • 트론
    • 350
    • -0.57%
    • 스텔라루멘
    • 493
    • -5.56%
    • 비트코인에스브이
    • 59,700
    • -5.31%
    • 체인링크
    • 28,850
    • -5.47%
    • 샌드박스
    • 582
    • -5.06%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