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B자산운용, ETF 라인업 확대···채권 ETF 3종 신규 상장

입력 2021-05-24 09:04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자료제공=KB자산운용
▲자료제공=KB자산운용
KB자산운용이 대대적인 ETF 라인업 확대에 나선다고 24일 밝혔다.

이를 위해 우선 오는 26일 채권 ETF 3종을 신규 상장하고, 6월 초 비메모리 관련 액티브 ETF와 컨택트 관련 ETF도 상장 예정이다.

이번에 상장하는 ETF는 국내 전체 채권시장대비 초과성과를 추구하는 KBSTARKIS종합채권(A-이상)액티브, 단기채권시장에 투자하는 KBSTAR KIS단기종합채권(AA-이상)액티브, RP를 활용 국고채 30년채권에 130%수준으로 투자하는 KBSTAR KIS 국고채 30년 Enhanced ETF다.

6월 초 상장예정인 비메모리 ETF는 주식형 액티브 ETF로 글로벌 반도체 시장에서 74% 비중을 차지하는 시스템 반도체 관련 국내주식에 투자한다. 시스템 반도체 시장은 인공지능, IoT, 자율차 등 4차산업 혁명의 핵심 부품 산업이다.

글로벌 ETF시장에서 채권ETF는 가장 빠르게 성장하는 분야 중 하나다. 2009년 11조 원에 불과했던 관련 자산이 2020년 1320조로 120배 성장했다. 국내 채권ETF시장도 규모가 빠르게 늘어나고 있다. 올해 들어 순자산이 1.3조 원 증가하며, 전년대비 20%넘게 성장했다.

KB자산운용은 가장 많은 채권ETF를 운용하고 있고, 이번 ETF 3종 추가상장으로 채권 ETF 60개 중 20개를 운용하게 된다. 국내 채권을 만기별로 구분해 총 13개 ETF를 운용중이며, 채권커브전략에 투자하는 전략상품 4종, 해외채권 4종을 상장 중이다

KBSTAR KIS 국고채 30년 Enhanced ETF는 국내 처음으로 상장되는 국고30년 채권에 집중투자하는 상품으로 국내채권 중 만기가 가장 긴 상품이다. 국고채 30년물 최근 발행 종목에 투자하면서 RP매도를 통해 국고30년 채권을 30%수준 추가 매수하는 전략을 사용한다.

국고채 30년물은 보험사가 향후 보험가입자에게 지급해야할 장기 부채에 대비하기 위해 필수적으로 사야하는 채권으로 해당 ETF 투자시 동일한 투자금으로 국고30년 채권에 130%투자하는 효과가 발생해 기관투자자의 관심을 끌 것으로 예상된다.

금정섭 KB자산운용 ETF전략실장은 “보험사가 동일한 투자금을 국고30년채권과 KBSTARKIS 국고채30년 Enhanced ETF에 투자할 경우 ETF투자시 RBC개선 효과가 더 높아져 투자수요가 있을 것으로 보인다”며 “개인투자자 입장에서도 채권만기수익률이 2.8%수준으로 개인연금이나 IRP계좌에서 장기보유 시 은행예금대비 높은 수익 추구가 가능할 것”이라고 말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삐이~" 새벽잠 깨운 긴급재난문자, 데시벨도 달라진다고? [해시태그]
  • 칸예, '아내 누드쇼'→'디디 게이트' 샤라웃?…'칸쪽이'는 왜 그럴까 [솔드아웃]
  • 경쟁국은 자국산업 보호로 바쁜데…기업 옥죌 궁리만 하는 韓 [反기업법, 벼랑끝 제조업]
  • 금 사상 최고가 행진에 은행 골드뱅킹 ‘화색’
  • '완전체 컴백' 앞두고 날갯짓 편 블랙핑크…4인 4색 차량 열전 [셀럽의카]
  • 비트코인, 숨고르기 들어가나…연준 모호한 발언 속 내림세 [Bit코인]
  • 제주공항 오늘 윈드시어 특보…지연·결항 속출
  • ‘이 정도면 짜고 친듯’…식품업계 이번주 잇단 가격 인상 발표, 왜?
  • 오늘의 상승종목

  • 02.07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48,800,000
    • -2.4%
    • 이더리움
    • 4,170,000
    • -5.29%
    • 비트코인 캐시
    • 493,600
    • -4.34%
    • 리플
    • 3,528
    • -7.21%
    • 솔라나
    • 296,100
    • -5.64%
    • 에이다
    • 1,101
    • -6.85%
    • 이오스
    • 897
    • -5.97%
    • 트론
    • 351
    • -0.57%
    • 스텔라루멘
    • 493
    • -5.92%
    • 비트코인에스브이
    • 59,650
    • -5.77%
    • 체인링크
    • 28,900
    • -5.56%
    • 샌드박스
    • 581
    • -5.53%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