필름 및 세라믹 커패시터 전문기업 삼화콘덴서는 국내 최초 세라믹 재료를 사용한 하이브리드 전기자동차 인버터용 커패시터<사진>를 개발했다고 13일 밝혔다.
이 제품은 하이브리드 자동차 배터리 전압의 상승 및 유지 역할을 하는 커패시터로 전압에 따른 용량 변화율이 적은 세라믹 소재를 유전체로 사용한 것이 특징이다. 회사측은 이를 통해 기존 필름커패시터가 가지고 있는 특성을 모두 충족하면서 기존제품 대비 작은 크기로 고압 및 고용량을 낼 수 있다고 설명했다.
현재 하이브리드카 인버터용 제품으로 고주파에 대한 안정성이 큰 필름커패시터 사용이 주류를 이루고 있지만 부피가 크다는 문제를 갖고 있다.
삼화콘덴서는 기존 필름커패시터 대비 크기가 50% 작은 세라믹커패시터를 개발해 현재 한국과 미국에서 동시에 특허 출원한 상태다.
하이브리드 자동차의 경우 전장부품이 차지하는 비율이 40% 이상 증가할 것으로 예상됨에 따라 공간제약을 고려한 전장 회로 설계가 업계의 이슈가 되고 있으며 인버터 모듈의 크기 및 무게를 30%이상 줄이기 위해서 크기가 작은 세라믹커패시터의 중요성과 그 필요성이 함께 부각되고 있다.
삼화콘덴서 윤중락 연구소장은 “하이브리드카가 본격적으로 대중화되면 신뢰성과 부피 측면이 고려돼 세라믹커패시터의 수요가 급격히 증가할 것”이라며 “첫 단계로 2010년 개발 예정인 하이브리드카에 새로운 개발품이 장착될 수 있도록 인버터 제작업체와 협의, 완성차 업체에 제안할 예정”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