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g.etoday.co.kr/pto_db/2021/08/20210811160443_1654341_600_400.jpg)
외국인이 올들어 주식을 팔고 채권을 사는 행태가 계속되고 있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우려가 델타 변이확산으로 가중되는 가운데, 미국 경제가 개선세를 보이고 있기 때문이다.
원·달러가 상승했지만, 스왑레이트가 5년3개월만에 최고치를 경신하는 등 외화자금사정은 안정세를 보였다.
12일 한국은행에 따르면 7월중 외국인은 국내 증권에 25억1000만달러(원화환산 2조8714억원)를 투자했다. 이는 6월에는 83억2000만달러(9조3292억원)를 투자해 역대 최고치를 경신했었다.
![(한국은행)](https://img.etoday.co.kr/pto_db/2021/08/20210812121532_1654676_432_359.jpg)
관련 뉴스
이장연 한은 국제총괄팀 과장은 “델타변이 확산으로 투자심리가 위축된 반면, 미국에서는 기업실적 호조 등 어닝서프라이즈가 이어지는 등 경제가 개선되면서 국내 주식시장에서 자금을 뺐다. 반면, 채권은 공공자금을 중심으로 순유입이 지속됐다”고 전했다.
원화는 약세(원·달러 환율 상승)를 보였다. 실제, 원·달러는 6월말 1126.1원에서 7월말 1150.3원, 8월10일 1149.8원을 기록하는 등 전반적으로 오르는 추세였다(6월말대비 8월10일 2.1% 약세). 이는 같은기간 브라질(-4.3%), 남아공(-3.3%) 보단 약세폭이 적은 것이었으나, 유로와 러시아(각각 –1.2%), 멕시코(-0.7%), 중국(-0.3%) 보단 큰 것이다. 코로나19 확산세가 지속된데다, 7월9일 사회적 거리두기 4단계 실시를 발표한 것이 영향을 미쳤다.
![(한국은행)](https://img.etoday.co.kr/pto_db/2021/08/20210812121555_1654677_430_358.jpg)
역외투자자들의 NDF 매입과 외국인의 원화투자자산 환헤지 관련 외화자금공급, 내외금리차 확대 등이 영향을 미쳤다는 분석이다. 다만, 저변엔 연내 금리인상에 나서겠다고 밝힌 한은 통화정책 스탠스도 작용했다.
통화스왑(CRS) 3년물 금리는 6월말 0.69%에서 7월말 0.70%를 거쳐 8월10일 0.71%까지 올랐다. 스왑레이트 상승과 국내기업의 부채스왑, 외국인의 외화자금공급 등이 영향을 미쳤다.
국가부도위험 지표인 외평채 CDS프리미엄 5년물은 7월 평균 18bp로 전월과 같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