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범죄 피해 15년 후 PTSD…대법 “진단 시부터 손해배상청구 시효 진행”

입력 2021-08-19 14:01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성범죄 피해로 뒤늦게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PTSD)가 발생한 경우 진단받은 때부터 손해배상청구권 소멸시효가 진행된다는 대법원 판단이 나왔다.

대법원 3부(주심 노정희 대법관)는 19일 A 씨가 B 씨를 상대로 낸 손해배상 청구소송 상고심에서 원고 일부 승소 판결한 원심을 확정했다.

A 씨는 초등학생이던 2001~2002년 운동부 코치 B 씨로부터 성폭행당했다. 15년이 지난 후 한 대회에서 우연히 B 씨를 마주친 뒤 충격을 받아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 진단을 받았다.

B 씨는 2016년 말 기소돼 2017년 1심에서 징역 10년을 선고받았다. 판결은 항소·상고가 기각돼 2018년 확정됐다.

A 씨는 확정판결이 나기 전인 2018년 6월 A 씨를 상대로 손해배상 청구소송을 제기했다.

재판에서는 B 씨의 성범죄로 인해 A 씨가 입은 피해에 대한 손해배상청구권의 소멸시효가 언제인지가 쟁점이 됐다.

1심은 무변론으로 원고 승소 판결했다.

2심은 “단기소멸시효(3년) 기산일은 형사재판 1심 선고일이고 B 씨의 불법행위로 인한 A 씨의 손해인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는 최초 진단을 받은 날 현실화 됐다고 봐야 하므로 이때가 장기소멸시효(10년)의 기산일이 된다”며 위자료 1억 원을 지급하라고 선고했다.

대법원은 “A 씨가 2016년 6월 전문가로부터 성범죄로 인한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가 발현됐다는 진단을 받은 때 불법행위로 인한 손해 발생이 현실적인 것이 됐고 이때부터 소멸시효(10년)가 진행된다”고 결론 내렸다.

재판부는 “성범죄로 인한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가 뒤늦게 나타나거나 성범죄 직후 일부 증상들이 발생하더라도 당시에는 장차 어느 정도로 진행될지 등을 예측하기 어려울 수 있다”고 밝혔다.

이어 “성범죄 당시나 일부 증상의 발생일을 일률적으로 손해가 현실화된 시점으로 보게 되면 장래 손해가 발생한 시점에 소멸시효가 완성돼 청구하지 못하게 되는 부당한 결과가 초래될 수 있다”고 지적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삐이~" 새벽잠 깨운 긴급재난문자, 데시벨도 달라진다고? [해시태그]
  • 칸예, '아내 누드쇼'→'디디 게이트' 샤라웃?…'칸쪽이'는 왜 그럴까 [솔드아웃]
  • 경쟁국은 자국산업 보호로 바쁜데…기업 옥죌 궁리만 하는 韓 [反기업법, 벼랑끝 제조업]
  • 금 사상 최고가 행진에 은행 골드뱅킹 ‘화색’
  • '완전체 컴백' 앞두고 날갯짓 편 블랙핑크…4인 4색 차량 열전 [셀럽의카]
  • 비트코인, 숨고르기 들어가나…연준 모호한 발언 속 내림세 [Bit코인]
  • 제주공항 오늘 윈드시어 특보…지연·결항 속출
  • ‘이 정도면 짜고 친듯’…식품업계 이번주 잇단 가격 인상 발표, 왜?
  • 오늘의 상승종목

  • 02.07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48,802,000
    • -2.37%
    • 이더리움
    • 4,174,000
    • -5.22%
    • 비트코인 캐시
    • 493,600
    • -4.34%
    • 리플
    • 3,528
    • -7.21%
    • 솔라나
    • 296,300
    • -5.61%
    • 에이다
    • 1,100
    • -7.02%
    • 이오스
    • 897
    • -5.78%
    • 트론
    • 351
    • -0.57%
    • 스텔라루멘
    • 493
    • -5.92%
    • 비트코인에스브이
    • 59,650
    • -5.77%
    • 체인링크
    • 28,890
    • -5.5%
    • 샌드박스
    • 583
    • -5.51%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