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워싱턴D.C.에 있는 연방준비제도(Fed연준) 청사의 모습이 보인다.
(워싱턴D.C./AP연합뉴스)](https://img.etoday.co.kr/pto_db/2021/11/20211115083329_1686256_1200_800.jpg)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 내부에서 자산매입 축소(테이퍼링) 진행 속도를 높여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19일(현지시간) 블룸버그통신에 따르면 연준 내 '2인자'로 꼽히는 리처드 클래리다 부의장은 이날 샌프란시스코 연방준비은행(연은)이 주최한 콘퍼런스에서 "지금부터 12월 회의까지 나온 데이터를 주시해 나갈 것"이라면서 "12월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회의에서 자산매입 축소 속도를 높이는 것을 논의하는 것이 적절할 수 있다"고 말했다.
클래리다 부의장은 지난 8일에도 브루킹스연구소 주최로 열린 온라인 행사에서 기준금리를 끌어올리는 '필요조건'이 아마 내년 말 전까지 충족될 것이라면서 금리 인상 가능성을 시사했었다.
또 다른 FOMC 멤버인 크리스토퍼 월러 연준 이사도 이날 강력한 고용 증가와 2%를 크게 웃도는 물가 상승세가 이어지면 테이퍼링을 가속하고 제로금리 정책에서 벗어나야 할 필요성이 있을 수 있다고 언급했다. 월러 이사는 "더 빠른 속도의 테이퍼링과 내년 중 통화완화 정책의 신속한 철회 쪽으로 기울고 있다"면서 "향후 지표에 근거해 더 빠른 테이퍼링 쪽으로 방향을 틀 필요가 있다고 믿는다"고 말했다.
관련 뉴스
연준은 그간 매달 1200억 달러어치의 미국 국채와 주택저당증권(MBS)을 사들이면서 시중에 유동성을 공급해왔는데, 지난 3일 FOMC 정례회의에서 테이퍼링 시작을 선언하면서 일단 11월과 12월에 연준의 자산매입 규모를 월 150억 달러씩 축소하겠다고 밝혔다. 이 속도라면 연준은 내년 중반께 양적 완화 조치를 모두 거둬들이게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