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의 투자전략] 우리 증시, 소폭 상승 출발…업종별 차별화 지속

입력 2022-07-29 08:42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본 기사는 (2022-07-29 08:41)에 Channel5를 통해 소개 되었습니다.

전문가들은 29일 증시가 소폭 상승 출발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간밤 미국 증시가 상승한 여파가 우리 증시에도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보면서다.

◇서상영 미래에셋증권 연구원= 전일 한국 증시는 미 연준이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를 통해 75bp(1bp=0.01%P) 금리 인상을 단행했으나, 제롬 파월 연준의장이 기자 회견을 통해 추가적인 금리인 상에 대해서는 속도 조절을 할 것이라 언급하자 상승했다.

달러/원 환율의 급격한 하락에 따른 원화 강세가 진행됨에 따라 외국인의 수급이 긍정적이다. 더 나아가 2차 전지 업종과 태양광 업종에 대한 긍정적인 소식도 지수 상승을 견인했다. 미 증시가 2분기 국내총생산(GDP) 성장률 마이너스 기록에도 불구하고 경기에 대한 자신감을 표명한 조 바이든 대통령과 옐런 재무장관의 발언에 힘입어 상승한 점은 한국 증시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것으로 전망한다.

경기 둔화가 지속될 경우 기업들의 실적이 부진하겠지만, 경기 둔화 시기 이익 개선을 이끌 사업부문이 있는 기업들 중심으로는 매수세가 유입될 수도 있음을 시사했다고 볼 수 있다. 아마존이 견고한 매출을 발표하고 시간 외로 10%대 급등하고 있으며, 애플도 달러 강세로 부진한 실적을 발표했음에도 시간 외로 상승하고 있다는 점에 주목해야 하는 이유다. 이러한 점을 감안 한국 증시는 0.3% 내외 상승 출발 후 경기 둔화 시기 견고한 매출이 이어질 수 있는 현금 창출 능력이 뛰어나 종목 중심으로 강세를 보이는 업종 차별화가 진행될 것으로 전망이다.

◇문남중 대신증권 연구원= 고물가, 경기 침체에 대한 시장의 인식이 달라질 수 있는 시점이다. 7월 FOMC를 통해, 전 금리 인상 결과보다는 향후 긴축 강도가 약해진다는 점에 화두가 옮겨 갔듯이, 시장 해석의 시점이 현재보다는 미래로 빠르게 바뀌고 있다.

미국의 2/4분기 GDP 성장률은 전기 대비 연율 0.9% 감소로, 금융시장이 주목하는 기술적 경기 침체의 결과를 나타냈다. 시장 예상치 +0.4% 증가를 하회하는 수치로 애틀랜타 연은의 GDP NOW(-1.6%)가 예고했던, 수순에서 벗어 나지 않았지만 28일 미국 시장이 받아들이는 인식은 달라졌다.

올해 3월, 6월, 7월 빈번하게 나타나고 있는 미국의 10년-2년물 장단기 금리 역전 역시, 금융시장이 주목하는 경제 지표인 것처럼 시장과 중앙은행이 주목하는 경제 지표에 괴리가 존재하고 있다. 시장은 점차 중앙은행이 주목하는 지표를 바탕으로 3/4분기에는 악재에 둔감한 모습을 보일 것이다. 7월, 증시 에 중요한 방향성을 제시한 미국의 6월 소비자물가, 2/4분기 GDP, 7월 FOMC가 끝났고, 이를 받아들이는 시장의 해석은 우려보다는 향후 개선 가능성에 더 주목하고 있다. 8.10일 미국의 7월 소비자 물가 발표 이전까지는 시장이 예상하는 것 이상의 증시 훈풍이 고물가, 경기 침체에서 잠시 벗어나 찾아올 만큼, 상반기 역풍에서 빠르게 벗어날 美 성장주가 대안이 될 것이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코스피 11% 올랐는데…개미는 ‘하락 베팅’ 삼매경
  • [트럼프 2기 한 달] 글로벌 경제, 무역전쟁 재점화에 ‘불확실성 늪’으로
  • 집안 싸움 정리한 한미약품, ‘R&D 명가’ 명성 되찾을까
  • 활기 살아나는 국내 증시…동학개미 '빚투'도 늘었다
  • [날씨] 전국 맑고 '건조 특보'…시속 55km 강풍으로 체감온도 '뚝↓'
  • 트럼프發 반도체 패권 전쟁 심화…살얼음판 걷는 韓 [반도체 ‘린치핀’ 韓의 위기]
  • MRO부터 신조까지…K조선, ‘108조’ 美함정 시장 출격 대기
  • ‘나는 솔로’ 24기 광수, 女 출연자들에 “스킨쉽 어떠냐”…순자 “사기당한 것 같아”
  • 오늘의 상승종목

  • 02.20 12:34 실시간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44,154,000
    • +0.49%
    • 이더리움
    • 4,073,000
    • +1.12%
    • 비트코인 캐시
    • 482,700
    • +2.53%
    • 리플
    • 4,013
    • +4.67%
    • 솔라나
    • 254,500
    • +1.11%
    • 에이다
    • 1,160
    • +3.11%
    • 이오스
    • 968
    • +4.99%
    • 트론
    • 359
    • -1.64%
    • 스텔라루멘
    • 505
    • +2.85%
    • 비트코인에스브이
    • 57,250
    • +2.32%
    • 체인링크
    • 27,110
    • +1.65%
    • 샌드박스
    • 548
    • +2.24%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