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이너스 성장 늪에 빠진 전 세계...돌파구가 없다

입력 2022-08-16 15:32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2분기 주요국 GDP 줄줄이 역성장
미국 2개 분기 연속 감소, 영국 5분기 만에 감소
경기침체 감수하는 공격적 긴축에 불안 고조

▲미국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트레이더가 전화를 걸고 있다. 뉴욕/신화뉴시스
▲미국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트레이더가 전화를 걸고 있다. 뉴욕/신화뉴시스
전 세계 주요국 경제가 올해 2분기 마이너스 성장했다. 미국과 중국, 유럽 경제대국까지 동시에 역성장을 기록한 것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발생 후 처음이다. 설상가상으로 고물가와 씨름하는 주요국이 금리인상에 가속 페달을 밟으면서 경기침체 그림자가 짙어지고 있다.

16일 니혼게이자이신문(닛케이)에 따르면 일본을 제외한 주요국의 2분기 국내총생산(GDP)이 모두 역성장했다. 국제통화기금(IMF)은 주요국 성장률 급락 여파로 2분기 전 세계 국내총생산(GDP)이 전기 대비 2.7% 감소한 것으로 추산했다.

미국은 GDP가 2개 분기 연속 감소하면서 기술적 경기침체에 진입했다.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를 정확히 예측해 ‘닥터 둠’으로 불리는 누리엘 루비니 뉴욕대 교수는 블룸버그TV와 인터뷰에서 “미 연방준비제도(Fed·연준)가 기준금리를 4% 이상 올려야 인플레이션을 2%로 끌어내릴 수 있다”며 “미국 경제는 경착륙하거나 통제 불능의 인플레이션을 보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중국 2분기 경제성장률은 연율 기준 10% 역성장했다. 중국 경제는 코로나발(發) 도시 봉쇄 해제 후에도 부동산 시장 침체로 허우적대고 있다. 7월 청년 실업률은 19.9%에 달해 사상 최고치를 기록했다.

영국도 2분기 성장률이 마이너스(-)0.1%로, 5분기 만에 역성장을 보였다. 이달 초 중앙은행인 영란은행은 올해 4분기부터 내년 말까지 장기간 경기침체를 예고했다. 조짐은 곳곳에서 나타나고 있다. 런던 히드로공항은 인력 부족을 이유로 하루 승객 10만 명 제한 조치를 10월까지 연장했다. 7~8월 집값은 올해 들어 처음으로 하락했다.

일본 경제는 2.2% 성장하며 팬데믹(전염병 대유행) 이전 수준을 회복했다. 그러나 잠재성장률이 낮고, 세계경제의 뒷받침 없이 ‘나홀로’ 성장할 힘이 부족하다는 평가다.

세계경제의 성장 엔진이 일제히 꺼진 가운데 향후 전망은 더 어두워지고 있다. 팬데믹 시기 주요국 경제를 견인했던 수요가 위축된 데다가 연준과 유럽중앙은행(ECB), 영란은행 등 금융당국마저 긴축 고삐를 죄고 있어서다. 닛케이는 “주요국이 급등한 소비자물가 억제와 경기침체 대응 사이에 균형을 유지해야 하는 어려운 상황에 직면해 있다”고 설명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尹 탄핵사건, 4일 오전 11시 생중계 선고…역대 최장 심리 기록
  • 장제원 전 의원 사망…강동구 오피스텔서 발견
  • ‘14명 아빠’ 일론 머스크, 또 한국 때린 이유 [해시태그]
  • "벚꽃 축제 가볼까 했더니"…여의도 벚꽃길, 무사히 걸을 수 있나요? [이슈크래커]
  • 김수현, 카톡 공개에 되레 역풍?…'김수현 방지법' 청원도 등장
  • [트럼프 상호관세 D-1] ‘기울어진 운동장’ 안 통했다…韓 IT업계 촉각
  • "신혼부부의 희망?"…'미리내집'을 아시나요 [왁자집껄]
  • "지브리 풍 이렇게 인기인데"…웹3, 애니메이션으로 돌파구 찾을까 [블록렌즈]
  • 오늘의 상승종목

  • 04.01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26,611,000
    • +3.29%
    • 이더리움
    • 2,851,000
    • +5.13%
    • 비트코인 캐시
    • 460,300
    • +2.27%
    • 리플
    • 3,195
    • +3.2%
    • 솔라나
    • 188,700
    • +1.18%
    • 에이다
    • 1,013
    • +3.47%
    • 이오스
    • 1,021
    • +10.98%
    • 트론
    • 352
    • -1.12%
    • 스텔라루멘
    • 406
    • +3.84%
    • 비트코인에스브이
    • 48,140
    • +2.8%
    • 체인링크
    • 21,060
    • +4.83%
    • 샌드박스
    • 413
    • +2.48%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