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국인 투자자들이 올 1분기까지 유가증권시장에서만 1조원이 넘는 순매수를 기록, 주가를 끌어 올리고 있다. 이처럼 외국인의 순매수가 이어지자, 국내 주식시장에서는 외국인 귀환 가능성에 대한 기대가 커지고 있다.
![](https://img.etoday.co.kr/pto_db/2009/04/20090406025909_nicezoom_1.jpg)
6일 증권업계에 따르면 현재 국내증시에서 외국인 투자자의 절대적 비중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렇다 보니 낮은 비중의 재조정 가능성에 무게가 실리고 있다.
굿모닝신한증권이 조사한 바에 따르면 2000년 이후 외국인의 평균보유 비중은 36%로 현 수준과는 대략 8%p포인트의 차이가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선엽 굿모닝신한증권 연구원은 "과거 평균치에는 못 미치더라도 30%대 초반까지의 회복은 기대할 수 있다"고 말했다.
신흥시장 간 비교시에도 한국증시의 외국인 비중은 낮은 편이다. 지난 1월 메릴린치 보고서에 따르면 이머징마켓 펀드를 운용하고 있는 펀드매니저를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에서 한국증시가 MSCI 벤치마킹 인덱스 대비 3%p 낮은 것으로 조사됐다. 이는 중국, 인도, 브라질, 대만 등 19개 이머징마켓 중 가장 낮은 수치다.
또한 FTSE 선진국 지수편입에 따른 외국인 매수 가능성도 외국인투자자 귀환 가능성에 힘을 실었다. 국내증시는 오는 9월 이전 FTSE 선진국지수에 편입되는데 선진국지수 내 편입비중은 1.64%로 25개국 중 12번째 수준이다.
이선엽 연구원은 "선진국시장에 투자하는 자금규모가 이머징마켓 투자자금의 15배가 넘고, 상대적으로 투자기간도 길고 안정적이어서 자금의 질적인 면에서는 우위의 평가를 받을 만하다"고 말했다.
이 외에도 산유국 국부펀드 자금의 재유입 가능성, 글로벌 디레버리지 마무리, 원화가치 급락에 따른 매력 등이 외국인 매수세 유입 기대감을 뒷받침하는 것으로 분석됐다.
이 연구원은 "경기 회복의 논란에도 불구하고 최근 국내외 경기지표가 일부 호전되는 모습을 보이면서 경기 바닥권에 대한 기대가 커지고 있고, 유동성 장세에 대한 전망이 현실화될 수 있다는 기대가 형성되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그는 "따라서 시간상의 문제는 있을지라도 2009년 외국인이 돌아올 가능성은 점차 커진다고 볼 수 있다"고 덧붙였다.
그는 "다만, 근본적인 문제 해결의 과정에서 외국인 매수가 기조적으로 이어지기보다는 정책재료에 따라 일정기간 매수했다가 이익실현을 반복하는 게릴라식 접근이 이뤄질 공산이 크다"고 분석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