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시내 한 카페에서 손님들이 일회용 컵으로 음료를 마시는 모습. (뉴스1)](https://img.etoday.co.kr/pto_db/2022/02/20220224161134_1722098_1200_799.jpg)
다음 달 2일 세종특별자치시와 제주특별자치도 지역에 '일회용컵 보증금제' 시행을 앞두고 정부가 매장의 부담을 줄이고 소비자의 컵 반납 편의를 위해 무인 간이회수기 설치에 나선다.
환경부와 자원순환보증금관리센터는 일회용컵의 매장 외 반납처를 늘리고 보증금제 참여 매장에는 무인 간이회수기 설치를 지원한다고 21일 밝혔다.
일회용컵 보증금제도는 소비자가 일회용컵으로 음료를 구매할 때, 자원순환보증금 300원을 내고 다 마신 컵을 반납하면 보증금을 돌려받는 제도다.
이번에 설치 예정인 무인 간이회수기는 소비자 스스로 컵을 반납하고 보증금을 돌려받을 수 있는 간단한 기능을 갖춘 기기다.
관련 뉴스
매장용인 무인회수기는 컵을 기기에 넣으면 바코드가 인식돼 보증금은 반환되고 컵은 자동 회수된다. 간이회수기는 소비자가 직접 기기에 바코드를 인식시키고 보증금 300원을 미리 등록한 계좌를 통해 돌려받은 뒤 컵은 회수통에 반납하는 간단한 기능으로 구성된 기기다.
환경부와 센터는 세종·제주 지역 총 626개 매장을 대상으로 무인 간이회수기 설치 수요를 파악 중으로 설치를 원하는 모든 매장에 기기를 무상으로 보급할 계획이다.
이와 함께 정부는 매장 외에서도 컵을 반납할 수 있도록 반납처를 확대한다.
매장 외 반납처에서는 보증금제 대상 일회용컵을 브랜드, 개수와 상관없이 대량으로 반환이 가능하다.
세종시에는 사무실 밀집지인 특성을 고려해 정부세종청사 및 세종시청, 각 동 주민센터, 공영주차장 등에 매장 외 반납처를 30개 이상 설치한다. 또한 공공기관이나 쇼핑센터 등 매장 주변의 주요 장소에도 간이회수기를 설치할 계획이다.
관광객이 많이 찾는 제주도에는 공항, 항만 여객터미널, 렌터카 주차장 등 관광객 주요 동선과 함께 매장이 밀집된 지역의 재활용도움센터 등에 40개 이상 설치한다.
한편, 센터는 무인회수기 1종을 대상으로 컵 압축·보관 및 회수 시의 안전·위생성, 컵 반납 속도, 고장 발생 여지 등 현장 적용성을 시험하는 시범사업을 추진한다.
환경부 관계자는 "일회용컵 보증금제도를 통해 일회용컵 사용을 줄이고, 부득이하게 사용한 일회용 컵은 별도로 수거해 재활용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