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느때 보다 시장의 열기가 뜨거워지고 있다. 여타 이머징마켓 증시 대비 국내 증시가 상대적으로 강한 모습을 보이면서 빠르게 상승하고 있기 때문이다.
전일도 코스피지수는 장중 약간의 조정을 거치다가 오후들어 상승폭을 확대하면서 또 다시 연고점을 갱시하며 거래를 마쳤다.
수급적인 측면에서도 외국인들의 매수세가 지속되고 있는 가운데 기관의 매도 공세가 약화된 점을 감안할 경우 추가상승 랠리에 대한 생각도 해볼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이같은 원인은 시장의 풍부한 유동성과 함께 기업들의 실적 개선이 이어지고 있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특히 금일 삼성전자의 실적발표가 예정돼 있는 가운데 이 결과에 따라 추가상승 여부가 결정될 것으로 보여진다.
동양종합금융증권 조병현 연구원은 24일 "국내 증시가 강한 흐름을 보이고 있는 데에는 양호해진 투자심리를 기반으로 예상보다 긍정적으로 나타나고 있는 개별 기업들의 실적에서 그 원인을 찾아볼 수 있다"며 "기업의 실적 개선이라는 요인이 시장 에너지와 직접적인 연관이 있다라는 측면에서 보면 국내 증시 강세의 신뢰성은 높다"고 분석했다.
조 연구원은 "이러한 기업의 실적과 관련해서 중요한 분수령이 될 삼성전자의 실적발표가 금일 예정돼 있다"며 "섣부른 예상은 위험하지만 최근 빠르게 개선되고 있는 이익 전망치나 여타 기업들이 보여 주고 있는 긍정적인 모습들을 미루어 볼 때, 나쁘지 않은 결과가 나타날 가능성이 높다"고 전망했다.
또 그는 "전일 장 후반부에 베이시스 개선과 더불어 유입된 매수 차익거래 물량은 베이시스 수준 개선여부에 따른 매수 차익거래 유입 가능성을 확인시켜줬다"며 "최근 7조원 수준까지 감소된 매수차익잔고를 함께 고려할 때 지속되고 있는 기관 매도세에 대한 부담감을 일정 부분 제한해 줄 수 있는 긍정적인 모습이다"고 말했다.
미래에셋증권 정승재 연구원은 "미국 금융주들의 올해 1분기 실적 발표가 큰 탈 없이 마무리된 가운데 시장의 관심은 금융불안 이슈에서 국내기업 실적으로 옮겨지고 있다"며 "LG전자의 1분기 어닝 서프라이즈에 이어서 금일 실적을 발표하는 삼성전자의 1분기 실적 개선이 새로운 상승 모멘텀이 될 것이라는 기대감이 커지고 있다"고 말했다.
정 연구원은 "현재는 유동성 장세와 실적 장세의 과도기로 판단된다"며 "과도기에 맞는 전략으로는 유동성 측면과 실적 측면에서 교집합을 찾아가는 것이 유리하다고 볼 수 있다"고 조언했다.
그는 이어 "유동성측면에서 보면 3월 이후 지수 상승을 견인하고 있는 주체는 외국인이다"며 "이들의 매기가 꾸준히
모이고 있는 업종은 전기전자와 운수장비업종이며 4월 들어서는 외국인 매기가 철강금속 업종으로도 확산되고 있다"고 말했다.
또 그는 "실적 측면에서 최근 기업이익 수정비율이 개선되고 있는 섹터는 IT와 소재, 경기관련 소비재 섹터다"며 "단기적으로 교집합인 IT와 자동차에 관심을 집중하면서 시선을 철강주로도 넓혀볼 필요가 있다"고 주장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