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g.etoday.co.kr/pto_db/2023/06/20230613130140_1894440_1200_1004.jpeg)
19일 은행권에 따르면 5대 시중은행(KB국민·신한·하나·우리·NH농협)의 5월 신규 연체율(잠정) 평균은 0.09%로 집계됐다. 이는 전년 동기 대비 신규 연체율(0.04%)과 비교하면 2배 이상높은 수치다.
신규 연체율은 당월 신규 연체 발생액을 전월 말 기준 대출잔액으로 나눈 값이다. 새로운 부실이 발생했는지를 보여주는 지표다.
이들 5대 시중은행의 신규 연체율 평균은 지난해 1∼7월 0.04%로 변동이 없다가 8월 0.05%로 올라선 뒤 10월까지 같은 수준을 나타냈다. 이어 지난해 11월 0.06%, 12월 0.07%, 올해 1월 0.08%, 2월 0.09%까지 치솟았다.
은행들이 연체율 관리에 나서면서 3월 0.07%로 일시적으로 하락했지만, 4월 0.08%, 5월 0.09%로 다시 2개월 연속 상승세다.
관련 뉴스
5월 가계 신규 연체율이 0.08%로 1년 전(0.04%)의 2배였다. 기업 신규 연체율은 0.11%로 전년 동월(0.05%)의 2배가 넘었다.
신규 연체 증가는 은행 전체 연체율 상승으로 이어지고 있다.
5대 시중은행의 5월 말 기준 원화 대출 연체율(1개월 이상 원리금 연체 기준)은 평균 0.33%로 집계됐다. 4월(0.31%) 대비 0.02%포인트(p) 상승했을 뿐 아니라 전년 동월(0.20%)과 비교하면 0.13%p 높은 수준이다.
5대 은행 원화 대출 연체율은 지난 1월 0.26%에서 2월 0.31%로 0.3%대에 진입한 뒤 3월(0.27%) 소폭 하락했지만, 4월(0.31%)과 5월(0.33%) 다시 상승세를 나타냈다.
5월 말 기준 가계대출 연체율은 0.29%, 기업대출 연체율은 0.37%로 각각 한 달 전 대비 0.02%p, 0.04%p 늘었다.
지난해 5월의 0.16%, 0.22%와 비교하면 각각 0.13%p, 0.15%p 올랐다.
연체율이 치솟으면서 은행 여신 건전성도 빠르게 악화되고 있다.
5대 시중은행의 5월 말 기준 고정이하여신(NPL)비율 평균은 0.29%로, 전달(0.27%) 대비 0.02%p, 전년 동월(0.25%)과 비교하면 0.04%p 늘었다.
고정이하여신비율은 은행 총여신 중 부실채권을 의미하는 고정이하 여신이 차지하는 비율로, 은행 자산건전성을 나타내는 지표다. 3개월 이상 연체 시 고정이하 여신으로 분류되는데, 통상 연체율이 상승하면 시차를 두고 고정이하여신비율도 올라가게 된다.
가계의 고정이하여신비율은 5월 0.21%로 4월(0.19%) 대비 0.02%p, 전년 동월(0.16%)과 비교하면 0.05%p 상승했고, 기업은 5월 0.35%로 전월(0.33%)과 전년 동월(0.32%) 대비 각각 0.02%p, 0.03%p 올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