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g.etoday.co.kr/pto_db/2023/08/20230822095341_1918943_1198_451.jpg)
올해 6월 국내은행의 원화대출 연체율이 전월 대비 0.05%포인트(p) 하락했다. 지난달(0.40%) 33개월 만에 최고치 경신하는 등 상승 곡선을 타던 연체율이 3개 월만에 떨어졌다.
22일 금융감독원은 6월 말 기준 국내은행의 원화대출 연체율(1개월 이상 원리금 연체기준)이 전월 말(0.40%) 대비 0.05%p 하락한 0.35%를 기록했다고 밝혔다. 전년 동월 말(0.20%)과 비교하면 0.15%p 올랐다.
6월 신규연체율은 0.09%로 전월 대비 0.01%p 하락했다. 1년 전인 지난해 6월 0.04%와 비교하면 0.05%p 상승했다.
6월 신규연체 발생액은 2조 원으로 전월 대비 1000억 원 줄었다. 연체채권 정리규모는 3조1000억 원으로 전월 대비 1조8000억 원 증가했다.
부문별로 보면 가계와 기업대출 전 분야에서 연체율이 하락했다. 6월말 기업대출 연체율은 0.37%로 전월말(0.43%) 대비 0.06%p 하락했다.
![](https://img.etoday.co.kr/pto_db/2023/08/20230822095357_1918944_1199_734.jpg)
대기업대출의 경우 연체율은 0.11%로 전월 말(0.12%) 대비 0.01%p 상승했다. 중소기업대출 연체율은 0.43%로 전월 말(0.12%)보다 0.08%p 하락했다. 중소법인 연체율은 0.45%로 전월 말(0.55%) 대비 0.10%p 떨어졌다. 개인사업자대출 연체율도 전월 말(0.45%)보다 0.04%p 하락한 0.41%를 기록했다.
가계대출 연체율은 0.33%로 전월 말(0.37%)보다 0.04%p 하락했다. 주택담보대출의 경우 연체율은 전월 말(0.23%)보다 0.01%p 하락한 0.22%를 기록했다. 주담대를 제외한 가계대출(신용대출 등)의 연체율은 0.62%로, 전월 말보다 0.13%p 하락했다.
금감원은 올해 상반기중 국내은행의 연체율은 상승 추세를 보였으나, 2분기는 연체정리 확대 등으로 1분기 대비 분기중 상승폭이 축소되고 있다고 분석했다.
현재까지 은행권 연체율은 코로나19 이전(2019년 12월말 0.36%) 수준 대비 안정적인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
금감원은 "글로벌 경기둔화 및 통화긴축 지속 등으로 현재의 연체율 상승 추세가 이어질 가능성에 대비하여 연체・부실채권 정리 확대 등 은행의 건전성 관리를 지속 유도할 예정"이라며 "월별 연체율 추이를 면밀히 모니터링하고, 적극적인 연체・부실채권 정리 등을 통해 건전성 개선을 지도할 계획"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