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일 국회 및 금융권에 따르면 올해 국감 종합감사에 증인으로 출석하지 않은 윤종규 KB금융지주 회장 고발 여부를 검토한 국회 정무위원회는 윤 회장을 고발하지 않는 쪽으로 여야 간 의견을 정리했다.
윤 회장은 지난달 27일 국감 출석 대상 증인으로 의결됐지만, 해외 기업설명회(IR) 활동 중이라는 이유로 불출석 사유서를 제출했다.
이와 관련해 정무위 고발 여부와 별개로 금융당국은 KB금융 측에 자료요구·제출 시스템(CPC)을 통해 윤 회장 불출석에 대한 소명 자료 제출을 요구한 것으로 전해졌다. 불출석 사유서에서 제시한 국외 IR 일정 및 해외 투자자 미팅 등이 정당한 근거가 있는지 기초 자료를 요청한 뒤 살펴보겠다는 것이다.
그동안 기업 CEO 등의 국감 불출석 관행은 명백한 법 위반이라고 강조한 정치권이 향후 재발 방지 차원에서 이를 금융감독원에 요구해 왔다.
관련 뉴스
금감원은 금융지주 등의 CEO 국감 불출석 배경에 바람직하지 못한 지배구조가 있다고 판단했다. CEO에 대한 견제 없이 보호에만 집중하다 보니 이 같은 일이 계속되는 것 아니냐는 지적이다.
올해 정무위 국감에서는 내부통제가 최대 이슈 중 하나가 될 것으로 전망됐지만, KB를 제외한 신한과 하나, 우리, NH농협 등 주요 금융지주 회장은 모두 증인 명단에서 빠졌다. 대신 각 은행의 준법감시인들만이 국감에 나와 여야 의원들의 지적을 받았다.
금감원은 KB의 자료를 검토한 뒤 불출석에 정당한 사유가 없다고 판단할 경우 필요한 조치를 취하겠다는 입장으로 알려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