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형 증권사, 올 국내 경제성장률 "-1.7~ -2.4 될 듯"

입력 2009-05-31 11:41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국내 대형 증권사들이 올해 우리나라 경제 성장률은 최대 -1.7%, 최소 -2.2% 수준을 기록할 것으로 예상해 기존 한국은행(-2.4%), 한국개발연구원(-2.3%), 삼성경제연구소(-2.4%)등 보다 다소 낙관적인 전망을 내놨다.

31일 현재까지 `2009년 하반기 경제전망'을 발표한 증권사 가운데 가장 밝은 전망을 내놓은 대우증권은 올해 우리나라 경제가 하반기에 `W'자형의 짧은 순환적 등락을 보이며 연간으로는 -1.7%의 성장률을 기록할 것으로 예측했다.

대우증권에서는 작년 4분기를 저점으로 경기가 되살아나면서 올해 2~3분기 중 1%대의 성장을 보이겠지만, 원화 강세와 유가 상승이 빠르게 진행되면서 4분기에는 0%대로 성장이 둔화될 것으로 내다봤다.

또 가계 부채 부담이 높아진 상황에서 하반기에 시중 금리 상승 가능성이 커 탄력적인 소비회복을 기대하기 어렵다고 전망했다.

삼성증권은 우리나라 경제가 올해 상반기 -3.9%에 이어 3분기에는 이보다 낮은 -4.2%의 성장률을 기록한 이후 4분기 4.1% 성장해 연간으로는 -1.9%의 성장률을 기록할 것으로 예측했다.

민간소비는 3분기까지 하락세를 지속한 후 4분기에 다소 회복되면서 연간 -2.7%를 기록하고, 설비투자는 글로벌 경기둔화 등에 따른 불확실성 증대로 -19.7%의 급락세를 보일 것으로 전망했다.

건설투자는 재정지출 확대 등에 따라 하반기로 갈수록 빠르게 회복되면서 연간 5.7% 증가할 것으로 내다봤다.

우리투자증권은 4분기부터 완만한 회복세를 보이는 `U'자형의 회복 패턴을 보이면서 우리나라 경제가 연간 -2.2% 성장할 것으로 예상했다.

우리투자증권 박형중 이코노미스트는 "원활한 재고조정과 정부의 경기부양 정책, 환율 안정, 중국 효과 등에 힘입어 하반기에도 개선세를 이어갈 것"이라며 "다만 선진국 경제가 여전히 부진하고 내수 부문만이 이끄는 개선이라는 점에서 경기개선 속도는 기대보다 빠르지 않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이 증권사 역시 대우증권과 마찬가지로 국제유가가 회복세를 가로막는 복병으로 등장할 가능성에 주목했다.

박 이코노미스트는 "국제유가가 현재 배럴 당 60달러를 넘어섰고, 점차 원유에 대한 수요가 증가할 것으로 보이는 만큼 하반기로 갈수록 비용상승으로 인한 인플레이션 가능성이 있다"며 "국제유가가 배럴 당 80달러 선을 넘는다면 무역수지는 적자로 전환할 것"이라고 우려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망곰이 유니폼, 제발 팔아주세요"…야구장 달려가는 젠지, 지갑도 '활짝' [솔드아웃]
  • "돈 없어도 커피는 못 참지" [데이터클립]
  • 네이버웹툰, 나스닥 거래 첫날 9.52% 급등 마감
  • 사잇돌대출 공급액 ‘반토막’…중·저신용자 외면하는 은행
  • 이해인, 성추행 논란에 "연인 사이였다" 주장…피해 선수 측 "정신과 치료 중"
  • 허웅, 유혜원과 열애설 일축…"연인 아닌 친구 관계"
  • 방탄소년단 '활중' 미리 알고 주식 판 하이브 직원들…결국 법정행
  • 국내 최초 지역거점 바이오클러스터 ‘춘천 바이오클러스터’ [가보니]
  • 오늘의 상승종목

  • 06.27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86,772,000
    • +0.97%
    • 이더리움
    • 4,855,000
    • +1.89%
    • 비트코인 캐시
    • 547,000
    • +3.5%
    • 리플
    • 668
    • +0.75%
    • 솔라나
    • 210,600
    • +9.01%
    • 에이다
    • 551
    • +1.29%
    • 이오스
    • 828
    • +2.1%
    • 트론
    • 171
    • -1.72%
    • 스텔라루멘
    • 128
    • +0.79%
    • 비트코인에스브이
    • 63,950
    • +1.51%
    • 체인링크
    • 20,280
    • +3.26%
    • 샌드박스
    • 479
    • +1.48%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