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만기도래하는 외화채권은 약 500억 달러 규모로 2020년 이후 최대 규모다.
1일 국제금융센터에 따르면 2025년 예상 한국계 외화채권 만기도래액은 497억 달러 규모다. 지난해 416억 달러보다 20% 많다. 2020년 이후 최대치다.
국책은행이 갚아야 할 돈이 238억 달러(48%)로 가장 많다. 공기업 82억 달러(16%), 시중은행은 58억 달러(11%), 민간기업은 45억 달러(9%), 민간금융회사는 34억 달러(7%), 금융공기업 29억 달러(6%) 정부는 11억 달러 등이다.
월별로는 2월, 6월, 7월, 9월, 11월 만기도래액이 50억 달러를 웃돈다.
후순위채나 신종자본증권으로 발행한 금융회사의 콜옵션 만기일도 올해 예정돼 있다. 시장에서는 보완자본 확충 등을 위한 차환 발행 가능성에 주목한다. 신한금융지주가 2019년 7월에 발행한 ‘Tier2 후순위채권’의 콜옵션 행사일은 2월이다. 동양생명이 2020년 9월에 발행한 ‘신종자본증권(Tier 1 후순위채, 30NC5)’의 조기상환 권리행사일은 9월이다.
그동안 한국물은 세계 채권시장에서 큰 인기를 끌었다. 한국 경제가 상대적으로 좋은 성과를 이어가면서 한국물 수요가 큰 폭 늘었고 덕분에 채권값도 상승(금리는 하락)했다. 기업 입장에서는 낮은 금리에 질 높은 자금을 끌어올 수 있어 자금조달 계획을 세우기 한결 수월했다.
그러나 지난해 12·3 비상계엄사태와 탄핵정국으로 한국과 기업들을 바라보는 시선이 차가워졌다. 스탠더드앤푸어스(S&P), 피치와 함께 세계 3대 국제신용평가사로 꼽히는 무디스는 앞서 윤석열 대통령에 대한 탄핵안이 국회에서 의결된 이후 “한국의 정치적 긴장과 경제활동 지장이 장기화할 경우 국가 신용도에 부정적 영향을 줄 것”이라고 경고했다.
경기 둔화 우려도 커졌다. 한국은행은 ‘우리 경제의 잠재성장률과 향후 전망’ 보고서에서 한국 경제의 잠재성장률이 향후 5년간 연평균 1.8% 수준으로 떨어질 것으로 분석했다. 이 같은 추세가 유지될 경우 2030년대에는 1% 초중반, 2040년대 후반에는 0.6% 수준으로 떨어질 것으로 예상된다.
김윤경 국제금융센터 자본시장부장은 “한국의 정치 불확실성이 크레딧 스프레드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지는 않겠지만, 소비자신뢰지수 하락, 추경 편성 지연, 트럼프 행정부의 보호무역주의 대응 미비 등으로 경제 성장이 악화할 경우 신용등급 전망에 부정적이다”라고 지적했다.
이미 시장에서는 한국 크레디트물에 대해 ‘매도(overweight)’ 의견까지 나왔다. 글로벌 투자은행 HSBC는 “한국물은 안정적(low beta)이고 만기가 길지 않아, 듀레이션(만기)을 축소하고자 하는 투자자 목표에 부합하지만, 스프레드 수준은 부담이다”라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