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P가 이런 전망을 한 건 한국기업의 경쟁력이 갈수록 떨어지고 있어서다. 지금 재계엔 미·중 무역분쟁, 내수부진, 기업 활동을 떨어뜨리는 상법개정 등 악재가 줄이어 있다. 전문가들은 이로 인해 수출의존이 심한 반도체와 이차전지, 정유·화학산업이 앞으로 몇 년 동안 어려운 영업환경에 직면할 것이라고 한목소리로 얘기한다. 대표적 수출기업인 삼성전자의 4분기 영업이익 추정치는 직전분기보다 6.57% 낮아졌다. SK하이닉스는 지난해 3분기에 이어 4분기도 최대 분기 실적이 예상되지만 기대치는 낮아졌다. 다른 주요 산업도 어려움을 겪는 건 마찬가지다.
이 같은 부진은 올해가 마지막이 아닐 수 있다는 점이다. 한국은행이 200개 수출 기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한(지역경제 보고서) 결과, 수출 규모 상위 20%에 해당하는 기업(40개)의 32.5%는 내년 수출이 올해보다 감소할 것으로 전망했다. 10% 이상 감소할 것이라는 전망은 2.5%, 5~10% 감소는 10%, 0~5%는 20%로 집계됐다.
탄핵 정국과 정치 리스크는 지금 이 시각에도 기업들의 주변을 맴돈다. 잿빛 시장 환경 아래서 기업이나 국민 등 경제 주체들이 미래에 받아들 12·3 계엄과 탄핵 청구서는 가혹할 전망이다. 포브스는 “(계엄은) 한국을 일본과 같은 잃어버린 10년으로 몰고 갈 가능성을 높인다. 그 대가는 한국의 5100만 국민이 오랜 시간에 걸쳐 할부로 치르게 될 것”이라고 했다.
그야말로 나라 안팎의 위험이 한꺼번에 덮친 셈이다. 수요는 줄어드는데 규제와 리스크는 눈덩이처럼 불어나고 있다. “기업하기 두려울 정도”라는 기업인들의 아우성이 빈말이 아님을 보여주는 현실이다. 그런데도 정치권과 정부는 이를 아랑곳하지 않는 태도를 보이고 있다.
탄핵정국 수습에 앞장서야 할 정치권은 더 한가하기만 하다. 지난달 26일 첫 회의를 열기로 한 여·야·정 협의체는 그야말로 유명무실하다. 기업들이 정부의 인식과 경제정책의 적절성을 의심하는 이유다.
올해 1%대 저성장 국면이 예고된 상태라 정치 불안이 경제에 미칠 악영향을 우려하는 목소리가 유난히 크다. “신용등급은 한 번 내려가면 다시 올리기 굉장히 어렵다”는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의 말을 정부와 정치권이 새겨듣기를 기대해 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