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일 은행연합회에 따르면 5대 은행(KB국민·신한·하나·우리·NH농협)의 지난해 11월 기준 기술신용대출 누적 잔액은 162조1624억 원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175조8215억 원)보다 13조6591억 원 감소했다.
같은 기간 기술신용대출 건수도 줄었다. 5대 은행이 집행한 기술신용대출 건수는 43만9683건에서 37만7100건으로 14% 감소했다. 은행별로 농협은행을 제외한 4개 은행에서 감소했다. 국민은행이 31.3%로 가장 큰 폭으로 줄었고, 우리은행(-15.5%), 하나은행(-13.5%), 신한은행(-7.9%) 순이었다. 반면 농협은행은 4% 증가했다.
기술신용대출은 기술력이 우수하지만, 재무 상태나 신용등급 낮은 벤처·중소기업이 돈을 빌릴 수 있도록 2014년 도입된 제도다. 은행은 기술신용평가기관이 발급한 평가서를 바탕으로 대출 한도와 금리를 책정한다.
이는 지난해 주요 은행들이 기업대출을 공격적으로 확대했던 것과는 상반된다. 5대 은행의 지난해 대기업대출 잔액은 158조3935억 원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136조4284억 원)보다 16.1% 늘었다. 반면 중소기업 대출 잔액은 630조8855억 원에서 662조2290억 원으로 4.9% 증가하는 데 그쳤다.
은행권은 기술신용대출을 받기 까다로워지면서 대출 건수가 줄었다는 입장이다. 금융위원회는 지난해 7월 기술신용평가 내실화를 다지기 위한 기술금융 개선방안을 발표했다. 기술력이 부족한 기업이 기술신용대출을 받는 관행을 막으려는 조치다.
은행 본점은 기술신용평가자를 지점에 임의 배정해 지점의 영향력을 차단했다. 일반 병·의원 및 소매업 등과 같은 비기술기업에 대해 기술금융을 의뢰하지 못하도록 기술금융 대상을 정비했다. 기술신용평가 등급별 정량점수 최소기준 마련 및 인공지능(AI)기술을 활용해 등급판정 가이드를 제공한다.
중소기업 연체율 급등으로 인한 은행의 리스크 관리도 영향을 끼친 것으로 보인다.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10월 기준 기업대출 연체율은 0.56%로 전년 동기(0.48%) 대비 0.08%포인트(p) 상승했다. 같은 기간 대기업대출 연체율 0.04%로 전년(0.19)보다 0.15%p 감소했지만 중소기업대출 연체율(0.70%)은 0.15%p 뛰었다.
중소기업이 자금난은 심화하고 있다. 중소기업중앙회가 발표한 ‘중소기업 금융이용 및 애로 실태조사’에 따르면 자금 사정을 묻는 말에 47.2%가 ‘악화했다’고 답했다.
중소기업이 가장 절실히 원하는 금융지원은 ‘금리부담 완화 정책 확대’(38.6%)로 나타났다. 은행을 통한 자금조달 시 애로사항은 높은 대출금리(46.9%)가 절반에 달한다.
은행권 관계자는 “과거에는 기술 신용대출 건수를 늘리기 위해 기술력이 부족한 기업에도 대출을 내줬지만, 이제는 필요한 기업에만 대출을 제공하고 있다”면서 “이로 인해 대출 건수가 줄어든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