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사 도우미' 로봇 성큼, 상상 속 가전 현실이 되다 [트럼프 2기, K제조업 다시 뛴다]

입력 2025-01-20 05:00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본 기사는 (2025-01-19 18:00)에 Channel5를 통해 소개 되었습니다.

‘미국 우선주의(America First)’를 넘어 ‘미국 유일주의(America Only)’ 정책을 표방하는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20일 공식 취임한다. ‘트럼프 노믹스’ 시즌2가 현실화한 것이다. 트럼프 1기 때 미·중 무역갈등으로 시작된 자유 무역주의 쇠퇴가 가속화하고, 글로벌 무역전쟁은 더 격화될 것으로 전망된다. 보호무역주의 기조와 중국 견제 정책이 강화되면서 한국 제조업은 중대한 도전에 직면했다. 최태원 대한상공회의소 회장(SK그룹 회장)이 연초 경제계 신년 인사회에서 “경제에 있어 가장 큰 공포는 불확실성”이라고 밝힌 것처럼 국내 제조업들이 체감하는 불안감은 최고조다. 하지만 ‘위기는 곧 기회’라는 말이 있다. 특히 한국 경제가 살아나기 위해선 제조업의 경쟁력 회복이 절실하다. 이에 이투데이는 트럼프 행정부 2기를 맞아 격화될 글로벌 제조업 경쟁 속 우리 기업의 현 주소와 생존 전략을 살펴보고, 다시 도약할 수 있는 새로운 기회를 모색한다. <편집자주>

삼성-LG, 휴머노이드 기업 투자 확대
가정용 로봇 '볼리', 'Q9' 올해 출시 예정
가전 구독 서비스로 시장 침체 돌파구

▲제품 생산 외에 돌파구 모색하는 기업들 사업 포트폴리오 (이투데이DB)
▲제품 생산 외에 돌파구 모색하는 기업들 사업 포트폴리오 (이투데이DB)

가전 회사들이 사업을 확장하고 있다. 전통적인 가전 사업은 성장에 한계가 뚜렷하기 때문에 새로운 영역을 공략하자는 전략이다. 특히 ‘관세 폭탄’을 내세우는 미국 트럼프 정권의 출범과 맞물리며 가전업계의 생존 경쟁이 더욱 치열해지는 모습이다. 이에 가전 구독 서비스와 가전 간 연결 등 기존 가전에서 잠재력을 키우거나, 로봇, 냉난방공조(HVAC) 등 가전을 넘어선 분야 공략에 힘을 쏟고 있다.

19일 업계에 따르면 삼성전자와 LG전자는 올해 가정용 로봇인 ‘볼리’와 ‘Q9’을 각각 출시할 예정이다. 아직은 가정 내 기기를 연결하고 간단한 업무를 수행하는 수준이지만, 궁극적으로는 휴머노이드(인간형 로봇)를 목표로 하고 있다.

▲삼성전자 가정용 로봇 ‘볼리’ (사진=삼성전자)
▲삼성전자 가정용 로봇 ‘볼리’ (사진=삼성전자)

가전 회사의 로봇 사업은 사업 다각화 전략으로 풀이된다. 기존에는 가전에만 국한됐던 사업 역량을 미래 성장 가능성이 큰 로봇, 특히 휴머노이드까지 확대하자는 취지다. 적극적인 인수합병(M&A)과 연구개발(R&D)을 통해 이를 차세대 신성장 사업으로 육성하려는 의지를 보이고 있다.

두 회사 모두 휴머노이드 R&D를 담당하는 전담조직을 갖춘 동시에 다른 기업들과 협업하며 휴머노이드 분야에 대한 투자를 이어가고 있다. 삼성전자는 휴머노이드 전문 개발업체인 레인보우로보틱스의 지분을 늘려가며 1대 주주로 올라섰고, LG전자는 로보스타와 로보티즈, 엔젤로보틱스 등 지분을 확보하며 기술 경쟁력 확보에 나섰다.

전통적으로 ‘모터 강자’로 불리는 LG전자는 HVAC 사업에 사활을 걸고 있다. 이는 체질 개선의 일환이다. 가전 회사인 LG전자는 사업 비중이 B2C(기업-소비자 거래)에 치우쳐 계절성이 짙다. HVAC 외에도 전장부품(VS), 비즈니스솔루션(BS) 사업 등 비중을 늘려 수익을 안정화하겠다는 의지로 풀이된다.

▲LG전자 AI 에이전트 Q9 (박민웅 기자 pmw7001@)
▲LG전자 AI 에이전트 Q9 (박민웅 기자 pmw7001@)

삼성전자 역시 지난해 5월 미국 냉난방공조 기업 레녹스(Lennox)와 합작법인을 설립하며 43조 원에 달하는 북미 공조 시장을 공략하고 있다. AI 시대에서 HVAC의 잠재력은 상당할 것으로 예상된다. AI 데이터센터는 많은 열을 발생하는데, HVAC 기술로 뜨거운 열을 식힐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구독 서비스 역시 큰 수익원 역할을 하고 있다. LG전자 가전(HS사업본부) 사업부 매출 가운데 가전 구독으로 인한 매출은 20% 이상을 차지한다. 영업이익률은 두 자릿수다. LG전자는 말레이시아 등 해외 지역에 구독 서비스를 확대할 방침이다. 최근 삼성전자도 ‘AI 구독 서비스’를 시작했다. 침체된 가전 시장에서 돌파구를 찾고, 경쟁사인 LG전자와 격차를 줄이기 위한 전략이다.

▲LG전자가 현지시간 6일 미국 라스베이거스 만달레이베이 컨벤션센터에서 ‘공감지능과 함께하는 일상의 라이프스 굿’을 주제로 ‘LG 월드 프리미어’를 개최했다. LG전자 조주완 CEO는 대표 연사로 등단해 ‘AI 홈’에 이어 모빌리티, 커머셜 등 일상 속 다양한 공간으로 연결·확장되는 인공지능(AI) 혁신을 소개하는 한편, 마이크로소프트와 전략적 파트너십을 발표했다. (사진제공-LG전자)
▲LG전자가 현지시간 6일 미국 라스베이거스 만달레이베이 컨벤션센터에서 ‘공감지능과 함께하는 일상의 라이프스 굿’을 주제로 ‘LG 월드 프리미어’를 개최했다. LG전자 조주완 CEO는 대표 연사로 등단해 ‘AI 홈’에 이어 모빌리티, 커머셜 등 일상 속 다양한 공간으로 연결·확장되는 인공지능(AI) 혁신을 소개하는 한편, 마이크로소프트와 전략적 파트너십을 발표했다. (사진제공-LG전자)

회사 입장에선 구독 사업이 안정적인 수입원 역할을 한다. 가전 시장은 계절성이 뚜렷해 분기별 실적이 들쑥날쑥한데, 구독 사업은 성·비수기 구분 없이 매출이 꾸준히 발생한다. 불안정한 시장 변화에도 타격을 받지 않는다. 단순히 기기만 판매하는 것이 아니라 서비스료가 포함되기 때문에 단가 측면에서도 수익성이 좋다. 장기적인 ‘캐시카우(현금창출원)’가 되는 셈이다.

전장(자동차 전기·전자장치) 사업도 두 회사의 미래 먹거리로 꼽힌다. 삼성전자는 자회사 하만에서, LG전자는 VS(전장)사업부에서 전장 부분을 담당한다. 전기차 수요 정체 현상이 이어지고 있으나 고부가 제품 판매 증가로 매출이 꾸준히 상승곡선을 그리고 있다.

이 밖에 삼성전자는 자체 플랫폼인 ‘스마트싱스’를 통해 ‘홈 AI’의 역할을 넓혀가고 있다. 가정에 도입하던 인공지능(AI) 기술을 모빌리티, 산업, 사회, 가상공간까지 확대하며 초개인화 모습으로 전환 중이다.LG전자 역시 집과 차량, 상업 공간 등 다양한 곳에 AI 기술을 적용하겠다는 목표를 세웠다. 이를 위해 최근에는 마이크로소프트와 협력 계획도 발표했다.

▲한종희 삼성전자 대표이사 부회장이 6일(현지시간) 진행된 'CES 2025 삼성 프레스 콘퍼런스' 행사에서 기조연설을 하고 있다.  (사진제공-삼성전자)
▲한종희 삼성전자 대표이사 부회장이 6일(현지시간) 진행된 'CES 2025 삼성 프레스 콘퍼런스' 행사에서 기조연설을 하고 있다. (사진제공-삼성전자)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트럼프 2기 출범] 패배 딛고 다시 선 트럼프…세계 정치·경제는 격랑 속으로
  • "680조 시장 잡아라"···건설업계, SMR 패권 노린다[SMR 왕좌 경쟁①]
  • ‘LCC 포비아’ 실체 없었다… "설 특수 기대감 무럭"
  • “꼭 필요한 정보만 요약 전달”…갤럭시 S25 시리즈, 강화된 AI 기능은
  • 빅딜에 ‘비만‧AI’까지…K바이오 먹거리는 ADC 낙점 [JPM 2025]
  • '더 높이 쌓고, 무한 확장' AI 반도체, 판도 바꾼다 [트럼프 2기, K제조업 다시 뛴다]
  • 결정적 찬스 놓친 손흥민…'강등위기' 토트넘 팬들에게 사과
  • “SMR 선도, 트럼프2기가 기회”…민관, 기술 확보·개발에 ‘사활’[SMR 왕좌 경쟁②]
  • 오늘의 상승종목

  • 01.17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53,495,000
    • -1.65%
    • 이더리움
    • 4,904,000
    • -0.08%
    • 비트코인 캐시
    • 656,500
    • -5.13%
    • 리플
    • 4,538
    • -5.46%
    • 솔라나
    • 380,800
    • -0.29%
    • 에이다
    • 1,522
    • -5.05%
    • 이오스
    • 1,247
    • -9.24%
    • 트론
    • 351
    • -2.77%
    • 스텔라루멘
    • 665
    • -6.6%
    • 비트코인에스브이
    • 78,300
    • -5.09%
    • 체인링크
    • 37,350
    • +5.21%
    • 샌드박스
    • 859
    • -6.63%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