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정용 로봇 '볼리', 'Q9' 올해 출시 예정
가전 구독 서비스로 시장 침체 돌파구
가전 회사들이 사업을 확장하고 있다. 전통적인 가전 사업은 성장에 한계가 뚜렷하기 때문에 새로운 영역을 공략하자는 전략이다. 특히 ‘관세 폭탄’을 내세우는 미국 트럼프 정권의 출범과 맞물리며 가전업계의 생존 경쟁이 더욱 치열해지는 모습이다. 이에 가전 구독 서비스와 가전 간 연결 등 기존 가전에서 잠재력을 키우거나, 로봇, 냉난방공조(HVAC) 등 가전을 넘어선 분야 공략에 힘을 쏟고 있다.
19일 업계에 따르면 삼성전자와 LG전자는 올해 가정용 로봇인 ‘볼리’와 ‘Q9’을 각각 출시할 예정이다. 아직은 가정 내 기기를 연결하고 간단한 업무를 수행하는 수준이지만, 궁극적으로는 휴머노이드(인간형 로봇)를 목표로 하고 있다.
가전 회사의 로봇 사업은 사업 다각화 전략으로 풀이된다. 기존에는 가전에만 국한됐던 사업 역량을 미래 성장 가능성이 큰 로봇, 특히 휴머노이드까지 확대하자는 취지다. 적극적인 인수합병(M&A)과 연구개발(R&D)을 통해 이를 차세대 신성장 사업으로 육성하려는 의지를 보이고 있다.
두 회사 모두 휴머노이드 R&D를 담당하는 전담조직을 갖춘 동시에 다른 기업들과 협업하며 휴머노이드 분야에 대한 투자를 이어가고 있다. 삼성전자는 휴머노이드 전문 개발업체인 레인보우로보틱스의 지분을 늘려가며 1대 주주로 올라섰고, LG전자는 로보스타와 로보티즈, 엔젤로보틱스 등 지분을 확보하며 기술 경쟁력 확보에 나섰다.
전통적으로 ‘모터 강자’로 불리는 LG전자는 HVAC 사업에 사활을 걸고 있다. 이는 체질 개선의 일환이다. 가전 회사인 LG전자는 사업 비중이 B2C(기업-소비자 거래)에 치우쳐 계절성이 짙다. HVAC 외에도 전장부품(VS), 비즈니스솔루션(BS) 사업 등 비중을 늘려 수익을 안정화하겠다는 의지로 풀이된다.
삼성전자 역시 지난해 5월 미국 냉난방공조 기업 레녹스(Lennox)와 합작법인을 설립하며 43조 원에 달하는 북미 공조 시장을 공략하고 있다. AI 시대에서 HVAC의 잠재력은 상당할 것으로 예상된다. AI 데이터센터는 많은 열을 발생하는데, HVAC 기술로 뜨거운 열을 식힐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구독 서비스 역시 큰 수익원 역할을 하고 있다. LG전자 가전(HS사업본부) 사업부 매출 가운데 가전 구독으로 인한 매출은 20% 이상을 차지한다. 영업이익률은 두 자릿수다. LG전자는 말레이시아 등 해외 지역에 구독 서비스를 확대할 방침이다. 최근 삼성전자도 ‘AI 구독 서비스’를 시작했다. 침체된 가전 시장에서 돌파구를 찾고, 경쟁사인 LG전자와 격차를 줄이기 위한 전략이다.
회사 입장에선 구독 사업이 안정적인 수입원 역할을 한다. 가전 시장은 계절성이 뚜렷해 분기별 실적이 들쑥날쑥한데, 구독 사업은 성·비수기 구분 없이 매출이 꾸준히 발생한다. 불안정한 시장 변화에도 타격을 받지 않는다. 단순히 기기만 판매하는 것이 아니라 서비스료가 포함되기 때문에 단가 측면에서도 수익성이 좋다. 장기적인 ‘캐시카우(현금창출원)’가 되는 셈이다.
전장(자동차 전기·전자장치) 사업도 두 회사의 미래 먹거리로 꼽힌다. 삼성전자는 자회사 하만에서, LG전자는 VS(전장)사업부에서 전장 부분을 담당한다. 전기차 수요 정체 현상이 이어지고 있으나 고부가 제품 판매 증가로 매출이 꾸준히 상승곡선을 그리고 있다.
이 밖에 삼성전자는 자체 플랫폼인 ‘스마트싱스’를 통해 ‘홈 AI’의 역할을 넓혀가고 있다. 가정에 도입하던 인공지능(AI) 기술을 모빌리티, 산업, 사회, 가상공간까지 확대하며 초개인화 모습으로 전환 중이다.LG전자 역시 집과 차량, 상업 공간 등 다양한 곳에 AI 기술을 적용하겠다는 목표를 세웠다. 이를 위해 최근에는 마이크로소프트와 협력 계획도 발표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