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세대 에너지원인 소형모듈원자로(SMR)의 글로벌 패권 경쟁에 불이 붙은 가운데 국내 건설업계는 견고한 공급망을 기반으로 세계적인 기술 경쟁력을 갖춰 나가고 있다. 다만 초기 시장 선점을 위한 SMR 고유의 규제 요건 수립과 연구비 안정화 등은 해결해야 할 과제로 지목된다.
20일 본지 취재를 종합하면 전문가들은 국내 건설업계가 가진 기술적 강점이 세계 SMR 시장에서 우위를 점하는 데 중추적인 역할을 할 것이라고 평가했다.
김용수 한국수력원자력 SMR 사업실장은 "국내 기업들은 1970년대부터 원전 건설과 기술 개발을 지속해오면서 누적된 기술적 강점이 뚜렷하다"며 "특히 혁신형 SMR 사업에 참여하는 기업들은 우리의 50년 기술 역량의 집약체인 셈"이라고 말했다.
한국은 1971년 국내 첫 원전인 고리 1호기 착공을 시작으로 10만 킬로와트급 소형원자로 'SMART'를 개발하고 2012년에 표준설계인증을 받는 등 50여 년 간 원전 관련 기술 개발을 꾸준히 진행해 왔다. 2023년부터는 한국수력원자력이 주도하는 산학연 컨소시엄을 필두로 혁신형 SMR(i-SMR) 개발이 진행되고 있다.
특히 견고한 공급망을 확보해 원전 노형 개발부터 설계, 제작, 시공, 운영 등 전 과정을 모두 국내에서 소화할 수 있다는 점은 경쟁국과 뚜렷하게 차별화된 역량이다. 실제 설계는 한국전력기술, 핵연료는 한국원자력연료, 주기기 제작은 두산에너빌리티가 도맡아 추진 중이다. 삼성물산, 현대건설, 대우건설, 포스코이앤씨, DL이앤씨 등 대형 건설사들은 풍부한 원전 시공 경험을 가지고 있다.
김성중 한양대 원자력공학과 교수는 "SMR은 원자로 설계 기술 자체도 중요하지만 경제성을 담보하기 위해 짧은 시간 안에 완벽하게 시공을 할 수 있는 능력이 매우 중요하다"며 "국내 건설사는 원자로 건설뿐 아니라 기자재 제작 등을 포함해서 주어진 예산 범위 내에 공기를 맞춰 원자로를 만드는 기술이 매우 출중하고 서방권에서 이러한 점이 크게 인정 받고 있다"고 말했다.
김한곤 혁신형 SMR 기술개발사업단장은 이러한 기술적 강점이 수주 경쟁에서 실적으로 연결될 것으로 전망했다. 김 단장은 "한국은 시공사가 설계와 제작, 건설, 운영을 다 지원할 수 있는 거의 유일한 국가"라며 "SMR 초기 수주에는 상대적으로 경쟁자 없이 사업 수주가 가능할 것으로 본다"고 예상했다.
SMR 시장 확대를 앞두고 해결해야 할 과제로는 연구비의 안정화가 첫 손에 꼽혔다.
정범진 경희대학교 원자력공학과 교수는 "SMR 관련 예산이 정치 논리에 따라 삭감과 증가를 반복하고 있다"며 "연구비는 안정적인 사업 추진을 위한 필수 요소인 만큼 정부 주도로 일관성 있게 추진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더불어민주당은 지난해 예산 심사 과정에서 333억 원 규모의 혁신형 SMR 기술개발(R&D) 예산을 전액 삭감한 바 있다. 반면 올해는 예산안 원안인 329억2000만 원이 그대로 통과됐다.
시장 선점을 위해서는 SMR 고유의 규제요건 확립이 가장 시급하단 견해다. 2030년 본격화될 국내외 SMR 시장에서 혁신형 SMR이 주도적인 역할을 하기 위해서는 적기에 1호기를 건설하는 것이 중요하기 때문이다. 원자력안전위원회는 관련 규제 확립을 위해 올해부터 SMR 전주기 안전 규제 검증 기술 개발 사업을 시작할 방침이다. 2032년까지 총 474억 원이 투입된다.
김 실장은 "건설 허가를 신청하려면 SMR 고유의 규제요건이 수립돼야만 한다"며 "이를 위해 빠른 규제 확립과 다각도의 투자 및 정책적 지원 등이 필요하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