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 정부, 영토 야욕도 본격화…미국 국무장관, 파나마운하 방문

입력 2025-02-03 16:39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루비오, 첫 해외 방문지로 파나마 선택
“현상황 즉각적 변화 없으면 조치”
밴스 부통령은 그린란드 소유권 압박
“트럼프, 유럽인이 소리쳐도 신경 안 써”

▲도널드 트럼프 미국 정부 고위 인사들이 2일(현지시간) 영토 관련 야심을 노골적으로 드러냈다. 사진은 마코 루비오(왼쪽) 미국 국무장관과 J.D. 밴스 부통령이 지난달 21일 기자회견에서 웃고 있다. 워싱턴D.C./로이터연합뉴스
▲도널드 트럼프 미국 정부 고위 인사들이 2일(현지시간) 영토 관련 야심을 노골적으로 드러냈다. 사진은 마코 루비오(왼쪽) 미국 국무장관과 J.D. 밴스 부통령이 지난달 21일 기자회견에서 웃고 있다. 워싱턴D.C./로이터연합뉴스
도널드 트럼프 미국 정부가 관세전쟁 포문을 연 가운데 영토 야욕도 본격화하고 있다. 당선 전부터 파나마운하와 그린란드 소유권을 주장한 트럼프 대통령에 부통령과 국무장관까지 가세했다.

2일(현지시간) AP통신에 따르면 마코 루비오 미 국무장관은 파나마를 방문해 호세 라울 물리노 파나마 대통령과 파나마운하 운영을 놓고 회담했다. 루비오 장관이 취임 후 첫 해외 방문지를 파나마로 정할 만큼 이번 사안은 트럼프 2기의 주요 과제라는 점을 강조한 것이다.

회담 후 국무부는 성명을 내고 “루비오 장관은 트럼프 대통령이 파나마운하에 대한 중국 공산당의 영향력과 통제가 운하에 대한 위협이며 파나마운하의 영구적인 중립 운영에 관한 조약을 위반한다는 예비 결정을 내렸다고 알렸다”고 밝혔다. 나아가 “루비오 장관은 지금의 현상 유지를 용납할 수 없으며 즉각적인 변화가 없다면 미국이 조약에 따라 권리를 보호하는 데 필요한 조치를 할 것이라는 점을 분명히 했다”고 덧붙였다. 국무부의 성명은 이례적으로 직설적이었다고 AP는 평가했다.

▲취임 후 첫 방문지로 파나마를 택한 마코 루비오(왼쪽에서 네 번째) 미국 국무장관이 2일(현지시간) 파나마시티의 파나마운하를 방문, 미라플로레스 갑문을 둘러보고 있다. 루비오 장관 일행 옆으로 우리나라 KSS해운의 액화석유가스(LPG) 운반선 ‘가스 아레스’호가 운하를 통과하는 모습이 보인다. 파나마시티/AP연합뉴스
▲취임 후 첫 방문지로 파나마를 택한 마코 루비오(왼쪽에서 네 번째) 미국 국무장관이 2일(현지시간) 파나마시티의 파나마운하를 방문, 미라플로레스 갑문을 둘러보고 있다. 루비오 장관 일행 옆으로 우리나라 KSS해운의 액화석유가스(LPG) 운반선 ‘가스 아레스’호가 운하를 통과하는 모습이 보인다. 파나마시티/AP연합뉴스
회담 후 루비오 장관은 직접 운하 현장을 찾아 파나마 정부를 압박했다. 현장에 있던 운하 관계자들이 직접 액화석유가스(LPG) 운반선이 미라플로레스 갑문을 통과하는 상황을 루비오 장관에게 브리핑한 것으로 전해졌다.

반면 물리노 대통령은 파나마가 운하를 운영하는데 별문제 없을 거라는 태도를 보였다. 그는 기자들과 만난 자리에서 “루비오 장관이 운하 탈환이나 무력행사에 관해 실질적인 위협을 하지 않았다”며 “조약과 그 타당성에 대한 실질적 위협이 있다고 느끼지 않는다”고 일축했다. 또 “이번 회담은 서로 존중하고 긍정적인 회담이었다”며 “운하는 파나마가 운영하고 앞으로도 그럴 것”이라고 강조했다.

회담 현장 인근에선 루비오 장관의 방문을 거부하는 시위가 열렸다. 약 200명이 파나마 국기를 들고나와 ‘루비오 나가라’ 등을 외쳤고, 트럼프 대통령과 루비오 장관 얼굴이 그려진 현수막을 불태웠다. 일부는 대통령궁까지 행진할 계획이었지만, 경찰에 의해 제지됐다.

미국은 파나마운하 통제권이 중국에 넘어가고 있다고 주장하면서 운하를 자신들이 운영하겠다고 압박하고 있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밤 플로리다주 마러라고 사저에서 백악관으로 돌아오는 길에 기자들과 만난 자리에서 다시 한번 같은 입장을 강조했다. 그는 “중국이 파나마운하를 운영하고 있다. 그건 중국에 주어진 게 아니다”며 “우린 그것을 되찾을 것”이라고 말했다. 다만 미군 병력 주둔설에 대해선 “군대가 필요할 것 같지는 않다”고 설명했다.

한편 J.D. 밴스 미국 부통령은 그린란드 소유권을 놓고 유럽에 일침을 가했다. 그는 폭스뉴스와 인터뷰에서 “트럼프 대통령은 유럽인들이 소리쳐도 신경 쓰지 않는다”며 “대통령은 미국 시민의 이익을 우선하는 데 신경을 쓰고 있다”고 말했다. ‘미국이 그린란드를 소유할 것으로 예상하느냐’는 질문에는 “가능하다고 생각한다”고 답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빚에 의존하는 기업들…단기차입금 700조 육박 [기업 급전 경고등]
  • 화제성 떨어지는 아시안게임, 'Z세대' 금빛 질주가 기 살렸다 [이슈크래커]
  • 이재명 명언 모음Zip [데스크 시각]
  • 글로벌 빅파마 사로잡은 K바이오…빅딜‧공동연구 확대
  • “후분양 장점 알지만”…수요자는 잔금 부담, 시공사는 미분양 우려에 ‘절레’
  • 갤럭시 S25, 초기 대박 비결은… '가격·성능·AI' 삼박자
  • 뉴욕증시, 파월 금리인하 ‘신중모드’에 혼조...나스닥 0.36%↓
  • 뉴진스 하니, 국내 활동은 어렵다?…어도어 비자연장 신청 거부
  • 오늘의 상승종목

  • 02.12 14:56 실시간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45,279,000
    • -2.05%
    • 이더리움
    • 3,951,000
    • -3.49%
    • 비트코인 캐시
    • 500,500
    • -2.63%
    • 리플
    • 3,653
    • -3.46%
    • 솔라나
    • 296,600
    • -4.14%
    • 에이다
    • 1,162
    • -4.75%
    • 이오스
    • 950
    • -5.47%
    • 트론
    • 361
    • -2.7%
    • 스텔라루멘
    • 478
    • -4.4%
    • 비트코인에스브이
    • 58,950
    • -4.53%
    • 체인링크
    • 28,050
    • -5.17%
    • 샌드박스
    • 576
    • -7.84%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