애플은 최대 30% 수수료·외부 결제 문제 삼아
중국시장 판매 부진 이어 새 악재로 ‘이중고’
5일(현지시간) 블룸버그통신은 소식통을 인용해 중국 반독점 당국이 애플 앱스토어 수수료 정책을 놓고 잠재적인 조사를 위한 토대를 마련하는 중이라고 보도했다.
소식통에 따르면 애플이 앱스토어에서 발생하는 거래액의 최대 30%를 수수료로 책정하고 외부 결제 서비스를 금지하는 정책이 조사 검토의 대상이 됐다.
한 소식통은 “규제 당국은 애플이 중국 현지 개발사에 부당하게 높은 수수료를 부과하고 있다고 생각하고 있고, 타사 앱스토어 이용을 금지하는 것이 경쟁을 방해하고 현지 소비자에게 피해를 준다고 생각한다”며 “애플이 정책 변경을 거부하면 정부가 공식 조사에 착수할 수 있다”고 말했다.
이번 움직임은 앱스토어를 놓고 애플과 텐센트·바이트댄스 등 중국 개발사들의 오랜 분쟁에서 비롯됐다. 이미 당국자들은 지난해부터 애플 임원, 앱 개발자들과 관련 대화를 나눈 것으로 전해졌다.
그러나 최근 미·중 관세 부과와 맞물리면서 지금의 갈등이 심화하는 분위기다. 중국산 제품에 대한 미국의 10% 추가 관세가 4일 자정을 기해 발효되자 중국은 곧바로 구글을 반독점법 위반 혐의로 조사하기 시작했다고 맞받았다. 전날에는 중국 정부가 인텔에 대한 새로운 조사를 검토하고 있다고 파이낸셜타임스(FT)가 보도했다. 양국 정상 간 전화통화가 무산된 상황에서 중국은 미국 기업의 조사 범위를 넓히려 하고 있다. 엔비디아도 이스라엘 네트워크 장비업체 멜라녹스 인수 건으로 중국의 반독점 조사를 받고 있다.
특히 애플의 경우 아이폰 생산기지 대부분을 중국에 둘 정도로 의존도가 큰 편이라 본격적인 조사가 시작되면 피해가 클 수 있다. 이미 화웨이테크놀로지 등 가격 경쟁력에서 앞선 중국 브랜드와의 경쟁 격화로 시장 경쟁력을 잃고 있는 애플로서는 이중고에 시달릴 가능성이 있다.
지난달 애플이 공개한 2025회계연도 1분기(10~12월) 실적에선 중국 매출이 전년 동기 대비 11% 감소했다. 이는 매출이 증가할 것이라던 시장 전망과 전혀 다른 결과였다. 게다가 중국은 미국과 함께 애플의 가장 중요한 시장으로 평가된다.
블룸버그는 “지금의 대화가 잘 진행된다면 규제 당국이 공식적으로 애플에 조처하지 않을 수도 있다”면서도 “미국의 중국의 무역 전쟁에서 또 다른 쟁점이 될 위험도 있다”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