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한금융 "CET1 비율 13% 이상 유지…주주환원 목표대로 추진"

입력 2025-02-06 16:18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6일 2024 연간 실적발표 컨퍼런스콜 열어
"우량자산 위주의 성장 지속할 것"

신한금융그룹이 올해 위험가중자산(RWA) 관리를 위해 우량자산 위주로 성장을 꾀할 것이라고 밝혔다. 또 올해 보통주자본비율(CET1)을 13% 이상 안정적으로 유지해, 주주환원 정책을 차질없이 지속 추진하겠다고 강조했다.

천상영 신한금융 최고재무책임자(CFO)는 6일 열린 2024 연간 실적발표 컨퍼런스콜에서 "올해 세 차례 정도의 금리인하로 이자수익은 약세로 돌아설 것으로 보이만 금리하락기엔 유가증권 등 비이자수익에서 큰 폭 개선이 기대된다"며 "그룹 내부에서 RWA 패널티나 자본수익률(ROC) 평가 기준을 명확히 해 RWA를 컨트롤 할 것"이라고 말했다.

특히 "RWA를 감안한 성장정책, WM과 IB딜 수임 등을 중심으로 펀더멘털을 개선해 올해도 CET1을 13% 이상 안정적으로 유지하겠다"면서 "CET1은 13.1% 수준을 충분히 유지할 수 있는 만큼 주주환원도 지속해나갈 계획"이라고 언급했다.

방동권 신한금융 최고연구책임자(CRO)도 "자본비율 최적화를 위해 우량자산 위주의 성장을 지속하고 부실 프로젝트파이낸싱(PF)은 신속하게 정리하겠다"며 "RWA 감축 또는 이전 효과를 위해 투자은행(IB) 셀 다운(자산 재매각), 자산 유동화, 신용 이전거래 등을 고려할 것"이라고 부연했다.

이날 컨콜에서는 신한금융의 비은행 부문 실적에 대해서도 언급됐다. 천 CFO는 "내부적으로 작년 한 해를 돌아보면 비은행 부문의 실적이 부진했던 게 아쉬운 부분"이라며 "자산신탁이나 증권, 캐피탈 등 대부분의 손익이 감소한 요인이 (부동산 관련 등)충당금 영역"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개별 그룹사 중 자산신탁의 경우 책준신탁 계정대 투입이 지속되면서 손실 반영이 연중으로 지속됐다"며 "자산신탁의 명목 손익이 마이너스 3000억 원 정도 되는데 소송 관련 충당금 등을 감안하면 실질적인 마이너스 규모는 1840억 원 정도"이라고 역설했다.

그러면서 "지난해와 같은 거액의 손실 요인이 이제 더 이상 발생하지 않는다고만 하더라도 거기서 발생하는 기저 효과가 충분히 있다고 생각한다"면서 "내부적으로는 분기별 경상 체력이 최소한 1조4000억 원에서 1조5000억 원은 충분히 나올 수 있다고 생각하고, 그런 부분을 감안하면 올해 손익은 전년도에 비해서 큰 폭의 성장을 기대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화제성 떨어지는 아시안게임, 'Z세대' 금빛 질주가 기 살렸다 [이슈크래커]
  • 단독 4대궁·종묘 관람객 지난해 1300만 '역대 최대'…외국인 첫 300만 돌파
  • '최강야구' 클로징, 하와이 전지훈련 확정…이번 시즌 MVP는?
  • 트럼프, 철강·알루미늄 관세 25% 부과 발표…“반도체·자동차도 검토”
  • 국내주식, 어디다 투자해야 할지 모르겠다면…국민연금 포트폴리오 참고해볼까 [경제한줌]
  • "대전 초등생 피습 가해교사, 교육청 현장 지도 나간 당일 범행"
  • 단독 첨단학과 '수도권 쏠림’ 사실로...경쟁률 지방의 3배 이상 [첨단인재 가뭄]
  • '2025 정월대보름' 부럼과 오곡밥을 먹는 이유 [그래픽 스토리]
  • 오늘의 상승종목

  • 02.11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47,626,000
    • +0.2%
    • 이더리움
    • 4,062,000
    • +1.5%
    • 비트코인 캐시
    • 512,500
    • +2.4%
    • 리플
    • 3,750
    • +2.63%
    • 솔라나
    • 305,500
    • -0.59%
    • 에이다
    • 1,216
    • +15.37%
    • 이오스
    • 971
    • +1.04%
    • 트론
    • 375
    • +3.59%
    • 스텔라루멘
    • 504
    • +5.88%
    • 비트코인에스브이
    • 61,000
    • +2.95%
    • 체인링크
    • 29,360
    • +4.19%
    • 샌드박스
    • 611
    • +4.62%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