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보] 뉴욕증시, 트럼프 ‘상호관세’‧인플레 우려에 하락...나스닥 1.36%↓

입력 2025-02-08 07:10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다음주 상호교역 발표할 것...모든 국가 영향”
기대인플레이션 4.3%로, 전달보다 1%p 상승
다우 0.99%↓...S&P500 0.95%↓

▲미국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4일(현지시간) 트레이더들이 작업하고 있다. 뉴욕/AP연합뉴스
▲미국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4일(현지시간) 트레이더들이 작업하고 있다. 뉴욕/AP연합뉴스

뉴욕증시는 인플레이션 우려와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무역 파트너에 대한 상호 관세 부과 예고에 하락했다.

7일(현지시간)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다우지수는 전장보다 444.23포인트(0.99%) 떨어진 4만4303.40에 장을 마감했다. S&P500지수는 전장 대비 57.58포인트(0.95%) 내린 6025.99에, 나스닥지수는 268.59포인트(1.36%) 하락한 1만9523.40에 각각 거래를 끝냈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방미 중인 이시바 시게루 일본 총리와의 정상회담에 앞서 상호 교역에 대한 질문을 받자 “다음주 상호 교역에 대해 발표한다. 우리는 더 많이도 더 적게도 원하지 않는다”며 “다음주 상호 교역에 대해 말할 것이며 기자회견을 할 것”이라고 밝혔다.

트럼프 대통령이 상호 교역(trade)라는 표현을 썼지만, 이는 상호 관세(tariff)로 해석된다는 것이다. 이어 모든 국가가 해당되냐는 질문에는 “모든 국가에 영향을 준다”고 답하기도 했다.

유럽연합(EU) 무역 적자를 강조했던 것처럼 미일 간 무역에서 미국이 적자를 보는 것과 관련해서도 적자를 줄이기 위한 협력과 균형을 강조했다. 특정 국가에 더 높은 관세를 부과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는 상황에 관세 위협이 다시 급부상한 것으로 보인다.

특히 이미 소비자심리 및 고용지표에서 물가 상승의 우려가 나타나면서 불안정했던 증시가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발언에 더욱 압박을 받았다고 CNBC방송은 분석했다. 10년물 국채 금리가 급등해 4.5%를 넘어섰다.

미시간대가 집계한 2월 소비자심리지수 예비치는 67.8로, 전월 대비 3.3포인트 하락하며 예상치(71.1)를 밑돌았다. 향후 1년 기대 인플레이션은 4.3%로 전달보다 1.0%포인트(p)나 높아져 소비자들이 물가에 대해 더 많이 우려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노동시장도 강세를 보였다. 이날 발표된 1월 고용보고서에 따르면 실업률은 4.1%에서 4%로 하락, 평균 시간당 임금도 시장 전망치보다 높게 나와 고용시장 호조로 인한 인플레이션 입력이 여전하다는 평가가 나왔다.

특히 빅테크 기업 중심으로 매도가 이어졌다. 아마존이 올해 1분기 연간 매출 성장률을 전망을 5~9%로 내놨는데, 이는 역대 가장 약한 성장률로 주가도 4.05% 급락했다. 애플도 2.40%, 마이크로소프트(MS)는 1.46% 하락했다. 테슬라와 알파벳도 각각 3.39%, 3.27% 내렸다.

CFRA리서치의 샘 스토발 수석 투자 전략가는 CNBC에 “전통적으로 실망스럽지 않은 기술 또는 매그니피센트7 부문에서 실망스러운 일을 겪었다”며 “그 그룹에서 벗어나는 일부 전환을 겪고 있다고 본다”고 평가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삐거덕대는 국정협의회…반도체법 다시 표류 위기
  • 무르익는 한동훈 재등판...숨은 걸림돌 ‘셋’
  • 하정우ㆍ김남길, '브로큰'으로 뭉쳤다…미스테리 곁들인 '복수 느와르' [시네마천국]
  • 정시 마지막 기회는...“추가합격·추가모집 잘 살펴보세요”
  • 태백·양주서 펼쳐지는 겨울 파티…홍성은 새조개 축제로 북적 [주말N축제]
  • “명문 학군 잡아라”…학군지 아파트 몰리는 수요자들
  • 예전만큼 타임머신 성능 안 나오네…신규 도입 시스템 혹평 받는 ‘문명7’ [딥인더게임]
  • 트럼프, 파나마 운하에 집착했던 진짜 이유
  • 오늘의 상승종목

  • 02.07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48,928,000
    • -1.17%
    • 이더리움
    • 4,070,000
    • -3.12%
    • 비트코인 캐시
    • 489,300
    • -1.55%
    • 리플
    • 3,660
    • +0.36%
    • 솔라나
    • 296,800
    • -1.36%
    • 에이다
    • 1,076
    • -3.93%
    • 이오스
    • 893
    • -1.22%
    • 트론
    • 354
    • -1.94%
    • 스텔라루멘
    • 499
    • -0.8%
    • 비트코인에스브이
    • 60,100
    • -0.74%
    • 체인링크
    • 28,020
    • -4.04%
    • 샌드박스
    • 570
    • -2.9%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