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입물가 4개월째 상승…원재료 4.4%↑

입력 2025-02-14 06:00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한국은행)
(한국은행)
수입물가지수가 4개월째 상승했다. 국제유가와 원·달러 환율 상승 영향 영향을 받았다.

한국은행이 14일 발표한 ‘2025년 1월 수출입물가지수 및 무역지수(잠정)’에 따르면 1월 수입물가지수(계약시점)는 145.22로 전월대비 2.3% 상승했다. 10월(2.1%), 11월(0.9%), 12월(2.3%)에 이어 넉 달째 상승세를 이어갔다.

수입물가지수는 전월과 마찬가지로 국제유가 및 원·달러 환율 상승의 영향으로 원유 등 광산품을 중심으로 올랐다. 계약통화기준으로 수입물가는 전월대비 1.1% 올랐다. 지난달 두바이유가의 월평균 가격은 배럴당 80.41달러로 작년 12월(73.23달러)보다 9.8% 상승했다. 같은 기간 원·달러 평균 환율은 1434.42원에서 1455.79원으로 1.5% 상승했다.

수입물가지수의 용도별 등락률을 보면 원재료는 광산품을 중심으로 전월대비 4.4% 상승했다. 원재료 가운데 농림수산품은 3.1%, 광산품은 4.5% 각각 올랐다. 중간재는 석탄및석유제품(3.5%), 화학제품(2.0%) 등이 오르며 전월대비 1.6% 올랐다. 자본재 및 소비재는 전월대비 각각 0.8%, 1.0% 상승했다.

수출물가지수(원화기준)는 135.12로 전월대비 1.2% 상승했다. 수출물가지수도 작년 10월부터 넉 달째 상승세를 이어갔다. 수출물가는 원·달러 환율이 상승한 가운데 석탄및석유제품 등이 오른 영향을 받았다.

농림수산품은 전월대비 0.8% 하락했다. 공산품은 석탄및석유제품, 화학제품 등을 중심으로 전월대비 1.2% 상승했다.

1월 수출물량지수는 운송장비, 석탄및석유제품 등이 감소하여 전년동월대비 10.7% 하락했다. 수출금액지수는 11.1% 떨어졌다.

1월 수입물량지수는 광산품, 화학제품 등이 감소해 전년동월대비 3.8% 하락했다. 수입금액지수는 7.1% 떨어졌다.

순상품교역조건지수는 수입가격(전년동월대비 -3.4%)이 수출가격(-0.4%)보다 더 크게 하락해 전년동월대비 3.1% 올랐다. 소득교역조건지수는 순상품교역조건지수(3.1%)가 올랐으나 수출물량지수(-10.7%)가 내려 전년동월대비 7.9% 하락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단독 “CXL 양산 코앞”…삼성전자, CXL 2.0 D램 전파 인증 획득
  • 설비투자에 R&D까지 ‘쓸 곳 많은데’…K바이오 자금조달 잰걸음
  • [날씨] 서풍 불며 '낮 최고 12도'…겨울 한파 물러간다
  • 단독 금감원 ‘고정금리 행정지도' 목표비율 4대 은행 중 3곳 ‘미달’
  • 2월 14일 '발렌타인데이' 유래는?
  • '나솔사계' 22기 옥순♥경수, 결혼 전 찐 부부 바이브…아들 목욕 시키며 화기애애
  • "이젠 자유로운 부동산 파티?!"…토지거래허가구역 해제, 왜? [왁자집껄]
  • 중세의 낭만은 빼고 현실감은 가득 채운 오픈 월드 RPG ‘킹덤컴:딜리버런스2’ [딥인더게임]
  • 오늘의 상승종목

  • 02.14 09:03 실시간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45,786,000
    • -1.25%
    • 이더리움
    • 4,035,000
    • -2.47%
    • 비트코인 캐시
    • 506,000
    • -2.41%
    • 리플
    • 3,846
    • +3.36%
    • 솔라나
    • 293,300
    • -1.28%
    • 에이다
    • 1,222
    • +1.5%
    • 이오스
    • 974
    • -2.11%
    • 트론
    • 354
    • -3.8%
    • 스텔라루멘
    • 509
    • +1.39%
    • 비트코인에스브이
    • 59,750
    • -2.92%
    • 체인링크
    • 27,960
    • -3.42%
    • 샌드박스
    • 595
    • -2.46%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