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양교통안전공단, 국내 첫 친환경 어선 건조 성공

입력 2025-02-14 08:41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고밀도 폴리에틸렌 소재로 부식에 강하고 100% 재활용

▲국내 첫 친환경 어선인 HDPE 선질 시제 어선 카이브 3호(2.99톤) (사진제공=한국해양교통안전공단)
▲국내 첫 친환경 어선인 HDPE 선질 시제 어선 카이브 3호(2.99톤) (사진제공=한국해양교통안전공단)
부식에 강하고 100% 재활용이 가능한 고밀도 폴리에틸렌(high-density polyethylene, HDPE) 소재로 만든 어선이 국내 첫 건조에 성공했다.

한국해양교통안전공단은 국내 최초로 HDPE 소재를 활용한 시제 어선을 건조하고 성능 테스트를 완료했다고 14일 밝혔다.

HDPE 소재는 열가소성 플라스틱의 한 종류로 기존 섬유강화플라스틱(FRP) 대비 부식에 강하고 강도가 뛰어나 유지보수 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며, 100% 재활용할 수 있어 친환경 소재로 주목받고 있다.

이번 시제 어선은 해양수산부 사업으로 공단이 주관기관으로 참여하는 ‘AI 기반 어선안전 설계 데이터 플랫폼 개발’ 과제 지원을 통해 건조했다.

현재 국내 연안 어선 건조에 주로 사용되는 FRP 소재는 시간이 지나면서 부식이 발생하고 유지보수 비용이 증가하는 한계가 있지만, HDPE 소재는 부식에 강하며 강도가 우수하고 재활용할 수 있어 환경 부담을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부산광역시 강서구 인근 해역에서 진행된 시운전 성능 테스트에서 2.99톤급 HDPE 어선은 최대 속력 32노트(knot)를 기록하며 동일 규모의 FRP 어선(25노트)과 알루미늄 어선(30.7노트)을 뛰어넘는 성능을 보였다.

이번 시제 어선 건조는 친환경적이면서도 유지 비용이 적은 어선을 개발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고 HDPE 어선의 건조기술을 확보해 향후 어업 현장의 안전성과 효율성을 높이는 동시에 국내 어선 산업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기대된다.

공단은 이번 실증 데이터를 바탕으로 HDPE 어선의 설계 기준을 정교화하고 안전 시스템 개발을 통해 어선의 안전성을 더욱 강화할 계획이다.

김준석 공단 이사장은 “초기에는 FRP 대비 건조 비용과 기간에서 다소 불리할 수 있지만, 기술 발전과 대량 생산이 이뤄지면 경제성과 성능 측면에서 대안이 될 것"이라며 “앞으로도 어선의 안전 강화와 어선 건조 산업의 선진화를 위해 적극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전쟁 끝나가는데…현대차, 14만원에 판 ‘러 공장’ 어쩌나
  • 美 증시 상승에도 웃지 못한 비트코인…약세 국면 진입 [Bit코인]
  • 한국인 10명 중 2명 "가까운 일본, 아무 때나 간다" [데이터클립]
  • 故 김새론, 오늘(19일) 발인…유족ㆍ친구 눈물 속 영면
  • “中 반도체 굴기, 한국 턱밑까지 쫓아왔다” [반도체 ‘린치핀’ 韓의 위기]
  • 소상공인 카페 매출 10% 급감 vs 스타벅스 사상 최대 실적 [소비재 시장 양극화]
  • [상보] 우크라 종전 가속화…트럼프 “아마도 이달 내 푸틴 만날 것”
  • 이하늬 60억 냈는데…연예계 세무조사, '먼지 하나' 안 나온 사람은? [이슈크래커]
  • 오늘의 상승종목

  • 02.19 10:35 실시간